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

책 속에서 배우는 리더의 경영 한 수 - 세종대왕

by 전경일 2009. 2. 3.

굴러가지 않는 바퀴는 썩는다. 바퀴를 굴리려면 멈춰 있던 수레를 움직이려는 의지가 있어야 하고, 달리게 하기 위해서는 바퀴살을 달고, 기름을 치는 등 혁신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수레가 바퀴를 움직이는 동력장치로 생명력을 얻게 되는 건 이 때부터이다.

고려라는 낡은 바퀴, 썩어 나동그라진 수레를 혁신해 내고, 다시 힘차게 달리게 하기까지의 과정은 흡사 조선초의 격변의 파노라마를 보는 듯 생생하다. 이 격변의 경영현장에 제왕으로서, 리더로서, 한 인간으로서 혁신에의 모든 노력을 다한 이가 세종이다. 세종은 어떻게 조선의 르네상스라는 전무후무한 경영에의 성과, 전인미답의 경영 정상에 우뚝 서게 되었을까? 그것은 영혼이 있는 개인, 철학이 있는 경영이 함께 했기 때문이다.

하늘(.)과 땅(ㅡ)과 사람(ㅣ).

이 세 개의 부호(정확하게는 훈민정음 탄생을 위한 음운학적, 신유학적 원리를 드러낸 철학적 상징체계이자 기호들)는 조선의 경영의 상(像)을 드러내는 가장 상징적인 표현이다. 하늘과 땅과 사람이 어우러지는 대동의 세계, 백성 받들기를 앙천하듯 해야 하는 대천이물(代天而物)의 사상, 백성이 나라의 근본(民惟邦本)임을 알고 모든 경영에의 노력을 다하는 것이 국가경영자의 책무라는 것을 알게 하는 모든 원리가 숨어 있는 것이다. 이 같은 혼을 불러 모으고, 혼을 다하는 경영 끝에 세종은 혁신, 나아가 전례 없는 창조를 이뤄내고 ‘새로운 조선’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세종시기 혁신은 바로 이런 천지인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창조적 동력을 얻어내는 데서 출발한다. 세상을 뜨겁게 끌어안고,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며, 누구도 감히 상상치 못한 창조적 결과물을 내놓게 되는 배경엔 이 같은 경영철학이 함께 했다. 어느 시대건 경영에서 과거는 죽음이다. 경영이란 흐르는 역류에 몸을 던져 거슬러 오르는 것이다. 그래서 어렵다. 소아(小我)를 버리고 대승(大乘)을 드높이 세우는 것, 그것이 한 나라의 국왕이 해야 할 소임이다.

올 들어 TV에서 ‘대왕세종’ 방영 후 세종대왕과 그의 국가경영실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드라마야 픽션이니 만큼 재미를 더하는데나 몰두하겠지만, 세종시대에는 어떻게 해서 그 많은 창조적 성과가 나올 수 있었는지 궁금하다. 게다가 이런 경이로운 경영을 펼친 제왕은 어떤 사람이었을까, 그의 경영상의 고민은 무엇이었을까?

해답은 다름 아닌 바로 앞의 ‘천지인(天地人)’에 있다. 유학에서 백성은 국가경영의 최대목표이자, 대상이다. 그 경영목표의 밑바닥과 역설적으로 최상부에는 백성들이 외롭고, 힘들게 눈물 나도록 어여삐 놓여 있다. 세종은 백성들의 지난한 삶을 목도하며 가슴 벅찬 경영에로 자신을 몰아세운다. 국왕의 소임은 하늘을 대신해 백성을 다스리는 것이자 오로지 애민하는 것이므로 그 본분과 책무를 다하고자 하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 세종이 스스로를 각성시키고 혁신과 창조에의 길로 뛰어드는 배경이 되는 것이다.

온갖 병마에 휘둘려 하루 한 동이의 물을 마셔야 할 만큼 ‘목마름병‘을 겪었던 세종은 열 살 때부터 가혹한 자기훈련과 극한의 경영수련을 쌓는다. 경영자로서 살아서 다했고, 죽어서 영원으로 남았다. 원ㆍ명교체기에 대제국 원이 남긴 자산을 조선의 것으로 전환시키며, 대풍평(大豊平)의 세상을 열어젖혔다. 그 시대 이전의 벤치마킹은 창조로 대체되고, 구습은 혁신된다. 그 결과는 찬란한 문명으로 나타났다. 시대의 담론, 비전을 통사적(通史的)으로 꿰고, 빌려 온 것에조차 독창적인 가치로 생명을 불어 넣었다.

예컨대 이슬람의 기술을 벤치마킹한 <옥루>는 우리만의 독창적인 것으로 거듭난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장영실을 통해 세종이 시계를 만든 것은 국왕 스스로 경천근민(敬天勤民)하는 경영에의 시간을 알고자 했기 때문이다. 나의 시간을 알고, 내가 언제 경영의 현장에서 백성들의 삶에 동참하고 그들을 위해 복무해야 하는지를 알게 해 주는 것이다. 그런 경영자로서의 치열한 삶과 노력은 모든 방면에서 눈부신 결과를 창출해 냈다.

그 시대 경영자가 수많은 인재들과 더불어 창신해 낸 각 분야의 생산성 향상은 가히 폭발적이었다. 고려 초에 1결(結, 세금을 매기기 위한 논밭의 면적 단위로 백 짐 또는 만 파(把)를 가리키는 말.)의 경작지에서 평균 6~11석이 생산되던 것이 1430년에 하삼도(下三道, 전라, 충청, 경상도 지역)지역에서는 20~30석, 50~60석이 생산될 정도로 생산성이 높아졌다. 출판, 인쇄물 등에서도 생산성은 고려 말 대비 작게는 300페센트에서 4000퍼센트까지 급증한다. 인구는 의서의 보급으로 13세기까지의 인구증가율(0.1%)을 훌쩍 뛰어 넘어 15세기 들어서는 4배나 증가하게 된다. 실로 눈부시다는 말로도 표현이 부족할 지경이다.

이런 경제적 결과물들은 세종의 뼈를 깎는 혁신의 결과였다. 그 중 창조의 완성을 이룬 절정은 <훈민정음> 창제였다. 온갖 방해를 물리치고 세종은 한글 창제로 영구한 민족의 스승으로서 위상을 지니게 된다. 이 무궁무진한 글자는 혁명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세종경영철학의 핵심인 하늘, 땅, 사람과의 조화로운 경영을 우리글 속에 녹여 부은 것이다.

세종은 600여년 전 조선의 국왕이지만, 그의 경영은 영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세종이 이룬 혁신과 창조에의 노력은 21세기 경영의 가장 큰 모범이 되며 이를 뛰어넘는 노력을 경주할 것을 우리에게 요구하고 있다. ⓒ전경일. <창조의 CEO 세종>(휴먼비지니스). 신용사회 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