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이순신 | 경제전쟁에 승리하라37

제도가 문제일까, 이를 운영하는 리더가 문제일까? 제도가 문제일까, 이를 운영하는 리더가 문제일까? 임란시기 방호체계와 이순신의 전략을 통해 이 점을 살펴보보자. 1592년 4월 13일 오후 부산 앞바다에 나타난 적은 이튿날인 14일 부산진을 점령하고, 15일 동래부를 함락시킨다. 5월 3일에는 서울을, 28일에는 임진강을 건너 6월 15일에는 평양을 점령한다. 부산을 치기 시작해 개전 20일 만에 서울이 무참히 무너지고, 2개월 만에 개성, 평양까지 빼앗기는 등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전개된다. 일일 평균 26km의 놀라운 속도로 적이 북상한 셈이니 특별한 저항 없이 통과한 것이나 다를 바 없다. 임란 초 우리는 어떻게 해서 이렇다 할 방어 없이 밀리게 된 것일까? 임란 전 전쟁 발발을 두고 조정 내부에서는 이견과 혼란은 있었으나, 나름 전쟁에 대한 .. 2023. 5. 30.
[리더십]이순신, 사즉필생의 리더십 인문학 교육시리즈 1. 리더십 [이순신, 사즉필생의 리더십] 프로그램입니다. 강의 문의 : humanity@kindssoft.com 2023. 4. 4.
이순신, 전함 시대를 열다 ⟪세종실록⟫을 보면 “이제부터 검선(劒船)에 한자 가량 되는 창검을 만들어 선측에 한 줄로 꽂아 적들이 무기를 가지고 배위로 올라오지 못하도록 정비할 것이다”라는 기록이 나온다. 세종 시기 검선 장착의 지식이 훗날 이순신에게 계승된 것이다. ⟪선조실록⟫은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이순신의 부하로서 전선 건조를 지도하던 나대용이란 사람이 지난날 전선 25척을 건조할 때 창선(槍船)을 만들었는데 그것은 구조 원리상 판옥선도 아니고 거북선도 아니었으며 칼창을 배에 꽂은 배였다. 전쟁을 일으킨 당사자인 일본은 거북선에 대해 어떻게 기록했을까?⟪정한위략(征韓偉略)⟫에서는 “적선 중에는 온통 철로 장비한 배가 있어 우리 포로써는 상하게 할 수 없었다”며 거북선의 전술우위에 대해 묘사하고 있다. 구조적.. 2021. 8. 24.
이순신 장군의 통섭형 지식과 전략 캠퍼스 이순신 장군의 통섭형 지식과 전략 캠퍼스 휴가를 자청해 집필 관련으로 남해 한려수도 일대를 돌아보았다. 남해 입구에 들어서는 순간, 이순신 장군의 유적지가 이토록 많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장군은 가까이에 있었다. 그런데도 까마득히 먼 곳에 있는 줄로만 알며 살았다니! 400여 년 전 조선의 삼도수군통제사였던 이순신, 그를 만나며 남다른 생 각을 다시 하게 된다. 23전 23승의 무결점 완벽한 승리야 익히 아는 바이지만, 승리의 원천을 만들어 낸 ‘이순신적’ 힘은 과연 어디서 온 것인지 궁금하기만 하다. 장군 관련 자료를 다시 훑으며 이순신적 힘이 인문과 타학문 분야가 결합된 ‘통섭적 발상’에 있음을 알게 된다. 예를 들면 이렇다. 우리가 익히 아는 거북선은 조선수군의 주력 함선인 판옥선과 함께 핵심 .. 2016. 3. 29.
고도의 학습력으로 경쟁력을 갖추다 고도의 학습력으로 경쟁력을 갖추다 장군은 유학을 공부하다가 22세가 되어서야 장인의 권유로 무예를 선택하여 무관직에 진출했다. 글방에서 수학하는 동안 비범한 면모와 뛰어난 재능으로 어른들을 놀라게 했다. ⟪통감⟫,⟪대학⟫ 등 어려운 책들을 샅샅이 읽었으며, 책을 읽을 때에는 대의에 집중했다. 나아가 전략적 연관성에 주목했다. 임진왜란과 왜, 왜의 작전과 전략상의 상관관계, 그에 맞선 조선수군의 대응책 등은 모두 이런 학습역량에서 나온 것이다. 장군의 전략을 유심히 살펴보면 병법에 통달했음을 알 수 있다. 사용한 용어를 보면, ⟪손자병법⟫,⟪오기병법⟫,⟪무경칠서(武經七書)⟫,⟪독송사(讀宋史)⟫등에 통달했고, 역사 인식도 대단히 높았던 것을 알 수 있다. 젊어서도 무장으로서 진도(陳圖)를 자세히 그릴 정도로.. 2015. 4. 7.
수신은 경영자다움을 얻는 마지막 관문 수신은 경영자다움을 얻는 마지막 관문 기업의 크기는 경영자의 그릇 크기와 같다. 이 말은 공기(公器)로써 기업의 사명뿐만 아니라, 기업 자체를 그릇으로 본다는 뜻이 된다. 바다를 강에 담을 수 없듯, 경영자의 그릇 크기는 당연히 수신철학의 내재화에 달려있다. 개인적 내공은 경영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이순신장군은 어떤 고통과 아픔에도 스스로 책임을 다하고 희생과 인내력을 견지해 나갔다. 이런 혁신 리더다운 면모는 스스로 늘 수신의 철학을 갈고 닦은 데서 잘 나타난다. 이순신과 관련된 일화들이 있다. 1579년(35세)에 이순신은 충청병사의 군관이 된다. 그런데 그가 거처하는 방에는 다른 아무 것도 없고, 다만 옷과 이불뿐이었다. 또 근친(覲親)하러 갈 때에는 반드시 남은 양식을 주관자에게 돌려주었다. 오.. 2014.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