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초영역인재30

영역을 뛰어넘는 인재를 육성하는 법 21세기 필수적인 인재상으로 각광받는 영역을 뛰어넘는 멀티형 인재들은 다양한 지식과 데이터, 경험을 끌어모아 이전에는 없던 새로운 융합형 지식을 만들어 낸다. 문화가 리드하는 통섭형 지식은 기업 경쟁력의 새로운 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미답을 사업 영역에 도전하는 기업의 필수적인 인재육성법이 여기 있다. 스위스의 역사학자 야코프 부르크하르트는 ‘우오모 우니베르살레(uomo universale)’ 즉, ‘보편적 인간’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끄집어 냈다. 다양한 분야를 섭렵한 사람을 지칭하는 ‘르네상스인’이라는 개념도 여기서 파생된다. 부르크하르트가 모범으로 생각한 인물은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라는 인물이었다. 화가이자 건축가였던 알베르티는 스포츠와 음악, 법률과 수학에도 뛰어났으며, 회화와 조각, 건축에서.. 2023. 10. 16.
MZ 세대를 위한 열린 인재관리법 MZ 세대를 이해할 때 인적환경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다. 이미 주력을 이루고 있는 이들 세대에 대한 이해는 기업 성패의 핵심을 이룬다. MZ 세대의 특징으로, 생활이 된 IT 환경, 개방적 인식과 라이프스타일 추구는 새로운 시장 경험과 공간을 이룬다. 이들 세대의 특성을 안다면, 기업은 새로운 인적자원관리의 차원을 열어갈 수 있다. 기업은 인재를 키워 유지하고자 하는 락인(lock-in) 전략에 고심한다. 하지만 이전 세대와 달리 과감하게 퇴사·이직을 실행하는 MZ 세대를 사로잡으려면 남다른 이해가 필요하다. 개인적 이해와 취향이 강하고, 기존 권위에 저항하며, 일보다는 워라밸을 중시하는 MZ 세대는 기업 인사담당자가 봤을 때는 입맛 까다로운 손님 격이다. 이처럼 개성 강한 집단이 주세대로 진입하.. 2023. 9. 24.
다방면에 소양을 쌓은 피렌체의 대가들 이탈리아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를 통치했던 기간 동안, 피렌체는 찬란한 르네상스를 꽃피웠다. 당시 피렌체는 다 열거하기도 힘들 만큼 많은 사상가와 예술가를 배출했다. 건축가 브루넬레스키와 알베르티, 조각가 기베르티와 도나텔로, 시인 단테와 사상가 마키아벨리, 화가 보티첼리, 그리고 만능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 등이 그들 중 일부이다. 메디치를 비롯한 명가의 일원들은 돈 많은 애호가를 넘어 예술에 상당한 소양을 갖추고 있었다. 어렸을 때부터 인본주의 교육을 받고 고전에 대한 지식을 갖추었던 부자들은 좋은 작품을 즐길 줄 알았으며, 그 자신이 뛰어난 예술가인 경우도 많았다. 그들이 비즈니스 영역에만 머물며 폭넓은 문예 분야에 눈을 돌리지 않았다면 르네상스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오늘날 기업들이 .. 2021. 4. 14.
창조적 영감의 원천, 00 우리가 아는 것의 대부분은 자연에 있다. 최후의 결정적이고, 통찰력이 번뜩이는 영감을 얻기 위해서는 자연을 찾아야 한다. 창조적 마인드를 얻기 위해서도 때로는 밀폐된 사무실을 벗어나야 한다. 사물에 대한 낯설음, 달리보기는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경영의 본질을 알게 하기 위해서도 자연으로 나가야 한다. 텃밭에 무성생식하며 뻗어 나가는 잡초의 근종을 관찰하거나, 거미가 허공에 실을 늘어뜨리며 팽팽하게 방사형의 네트워크를 짜는 광경을 관찰해야만 한다. 아프리카 흰개미들이 어떻게 완벽한 통풍과 에어컨디셔닝의 기능이 구비된 건축물을 만드는지를 눈여겨보아야 한다. 칠게들은 어떻게 포식자가 나타나면 순간적으로 교신을 하며 재빠르게 몸을 감추는지를 알아야 하고, 말(馬)은 어떻게 피로를 줄이는 젖산 분해효소를 생산해 .. 2011. 12. 28.
초발혁신가가 되고 싶다면 만약 인식의 문이 제거된다면, 모든 것들은 무한하게 있는 그대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윌리엄 브레이크, ) 세계적인 혁신가 스티브 잡스의 죽음 앞에 전세계 사람들은 그에 대한 추모를 ‘I sad...'라는 말로 함축적으로 드러냈다. 잡스가 타개한지 3개월여. 잡스가 남긴 것이 무엇인지 전 세계 거의 모든 언론과 기업들은 열광적으로 특집을 내보내며 잡스를 다뤘다. 그런데 정작 수많은 잡스 관련 평들이 쏟아져 나왔지만, 잡스의 혁신이 어디에 있는지 그 본령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잡스를 그토록 혁신의 대명사로 만들어 놓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얼마 전 뉴욕의 한 지인에게 잡스 타계 이후 애플 매장에서의 변화에 대해 전해 들을 수 있었다. 그런데 놀라운 점은 매장을 찾는 사람들의 ‘인식’에 있다는 것을 .. 2011. 12. 28.
너의 다원성을 불러내라 우리나라 대학의 학과와 전공 교수의 특징을 밝힌 보고서를 읽고는 깜작 놀랐다. 2006년 2월 기준, 수도권 대학 경제학과 교수 중 미국 박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85.7%에 달했다. 흔히 주류경제학이라 불리는 이론을 전공한 비율은 90.5%이고, 아예 100% 미국 박사만으로 경제학 교수진이 채워진 대학도 6곳(경희대, 중앙대, 단국대, 동덕여대, 홍익대, 서울여대)이나 된다고 한다. 지금은 좀 바뀌었을까? 지금 분위기에서 미국식 금융자본주의를 벗어난 경제 질서를 상상하기란 쉽지 않다. 세계 경제가 다원적으로 흘러가고 있는 것과 달리 조사 할 무렵만 해도 우리는 지나치게 편중된 생각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접을 수 없다. 학문에 있어서도 편식이 작용할 것임은 두 말할 나위 없다. 세계를 움직이는 힘으로 2.. 2011.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