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경영/조선의 왕들15

[헌종] 세상의 격랑에 두 눈을 감고 격랑은 애써 외면한다고 피해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모진 세파는 바로 부딪쳐야 살 방도를 찾게 된다. 헌종 연간(1834~1849년)은 조선이 후기로 치달을수록 내․외부적인 도전에 강하게 부딪치는 시기였다. 헌종은 효명세자(익종)과 신정왕후 조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출생해 8세의 어린 나이에 국왕의 자리에 올랐다. 소년왕의 경우 으레 등장하는 외척의 발호와 부정부패는 헌종 대에도 마찬가지였다. 헌종을 만나본다. -왕께서는 어린 나이에 즉위해 역시 대비로부터 수렴청정을 받게 되었지요? 그 만큼 왕권이 휘둘렸다는 얘기가 되는데, 어떠셨는지요? “내 어린 나이에 국왕에 올라 순조의 비인 순원왕후 김씨의 청정을 받게 되었지. 11세가 되었을 때에는 김조근의 딸을 왕비로 받아들이며 안동 김씨의 세도 시대가 열렸고.. 2011. 12. 28.
[정조] 넘었으되 넘지 못한 선을 밟다 8세의 어린 나이에 아비의 죽음을 보아야만 했던 아들. 그 아들은 아비를 죽인 할아비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으며, “왕위에 오른 뒤에도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죽음과 관련된 일에는 절대 관여하지 말라”는 엄명을 받는다. 어려서부터 정치의 비정함을 몸소 깨달았던 아들, 아비의 묘소인 영우원을 참배할 때마다 옷소매를 적실만큼 울어댔던 아들, 아비의 죽음과 같아서는 안되는 것을 알면서도 끝내 ‘독살설’의 주인공이 되고만 아들. 조선의 제22대 국왕, 개혁군주 정조를 만나본다. -왕을 이야기할 때 ‘삼불필지설(三不必知設)’을 먼저 꺼낼 수밖에 없는데요. 세손 무렵일 때 정국은 어땠나요? “왕이 되기 전, 나는 한낱 바람 앞의 촛불에 불과했소. 아비를 죽인 노론계의 홍인한이 ”동궁은 노론이나 소론을 알 필요가 없고, .. 2011. 12. 28.
[영조] 탕평, 그리고 부자의 정을 의리로 지키게 하라 재위기간 52년. 조선 21대 국왕 영조만큼 오랜 기간 집권한 왕도 아마 없을 것이다. 대궐우물에서 물 긷는 무수리의 아들로 태어나 28세 때 세자로 책봉되기 전까지 10년이 넘게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 산 영조는 누구보다도 백성들의 삶을 알았다. 평소 몸에 밴 서민적 의식으로 검소하게 생활했고, 백성과 가까이 해 백성의 어려움을 풀고자 했다. 그러나 그에게도 어두운 그림자가 있었으니... 영조를 만나보자. -왕을 얘기할 대 우선 ‘경종 독살설’의 의혹을 먼저 꺼내게 되어 부담스러운데요. 그 속사정을 말씀해 주시죠? “허어. 또 그 얘기인가? 후세도 알다시피 1724년 8월 20일 내가 이복 형님께 보낸 게장과 생감이 원인이 되어 왕인 경종께서 5일 만에 돌아가셨다는 건데, 내 어찌 그럴 수 있었겠는가?”.. 2011. 12. 28.
[경종] 복수로 살지 아니하고 형제의 의를 다하라 재위기간 4년. 아버지 숙종으로부터 생모인 장희빈에 대한 사랑이 식자, “누구의 자식인데 그렇지 않겠는가?”라며 멸시까지 받았던 조선의 제 20대 임금, 경종. 그는 당쟁의 결과로 왕위에 오르고 당쟁의 결과로 독살되었다는 의문을 남긴 채 짧은 한 인생을 마감했다. 재위 동안 노론과 소론의 당쟁의 절정기를 보낸 국왕을 만나본다. -왕께서는 부왕(숙종)이 정말 힘들게 얻은 아들이지요? “그렇다네. 부왕께서 즉위한지 14년 만에 본 아들이니 오죽 애지중지 했겠나. 태어나 3개월 만에 원자로 책봉되고, 3세가 되자 왕세자로 책봉될 만큼 관심을 많이 받았었지.” -그런데 부왕이 아버지로서 차마 입에 담기 어려운 말을 하며 아들을 부정한 것은 무엇 때문이었나요? “어머니(장희빈)에 대한 애정이 식자, 그 아들마저 .. 2011. 12. 7.
[숙종] 정치는 변덕스럽게 하고, 경제는 실제를 구하라 무릇 정치, 경제 두 마리 토끼를 다 잡는다면 이보다 더 나라를 잘 다스리는 게 어디 있겠는가 마는 잣은 정치적 변동에도 그나마 경제의 뿌리는 내리기 시작했으니 숙종 연간이 그러할 것이다. 14세의 나이에 국가를 물려받아 46년간 조선의 19대 국왕으로서 치세를 다한 숙종을 만나본다. -왕께서는 어린 나이에 국왕이 되셨는데요, 송시열이라든가 원로들의 득세가 대단해 ‘군약신강’의 구도 하에서 어떻게 정국을 움켜쥐실 수 있었는지요? “음. 정말 대단했지. 내가 배운 게 뭐던가? 사내정치의 묘수 아니던가? 나는 정치란 끝없이 줄세우기를 하며 왕권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네. 권신들에게 휘둘리지 않는 법을 일찍 체득했다고나 할까.” -일테면 사내정치를 정치에 활용했다? 그런 말씀이신지요?“ “그런 셈이지. 나.. 2011. 11. 30.
[현종] 무효경쟁으로 세월을 허비하니 정치의 본질은 실종되고 19세의 현종은 북벌을 강행하려 했던 아버지 효종의 급작스런 사망으로 왕위에 오른다. 독살설이 끊이지 않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효종의 죽음은 그 죽음의 미스터리 한가운데 있던 송시열과 산당의 존재가 있는 한, 현종 자신에도 닥칠 불행한 운명의 전주곡과도 같은 것이었다. 즉위기간 내내 왕실의 의례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예송논쟁(禮訟論爭)으로 조정은 날을 밝히고 있었고, 거기에 정치의 본질인 민생이 자리 잡을 곳은 없었다. 조선의 18대 국왕 현종을 만나본다. -왕께서는 재위 15년 동안 ‘상복을 어떻게 입을 것인가’ 하는 문제로 날을 세우다 시피하셨는데요. 정치의 근본이 그보다는 민생에 있는 것은 아닌지요? “어디 이르다 뿐인가. 허나 예송논쟁은 불가피한 것이었네. 인조반정 이후 호란과 북벌이란 키워.. 2011.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