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

[창조의 CEO 세종] 신생 조선을 업-그래이드 하라!

by 전경일 2009. 2. 3.
CEO가 되기 전, CEO로 부름을 받을지 모른다는 한 가닥 희망 속에서 세종은 착실히 경영 수업을 쌓아나갔다. 하지만 그것은 당시로써는 전혀 가능성 없는 헛된 기대감에 불과했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서도 세종은 희망의 날을 벼리는 작업을 결코 게을리 하지 않았다. 준비마저 없다면, 정작 기회가 와도 결코 자기 것으로 만들지 못하리라는 것을 그는 누구보다도 잘 알았던 것이다.


사실 세종은 너무나 ‘호학(好學)’한 타입이어서, 설령 대군의 신분으로 평생 궐 밖에 나가 산다고 할지라도 결코 문제 될 게 없었다. 그에게 있어 공부는 인생을 벗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친구였다. 그에겐 정말 공부가 제일 쉬웠다. 그리고 공부를 하고 있으면 언제나 머리 속이 가득 차오르는 기쁨을 느낄 수가 있었다. 더구나 공부를 할 때면, 시간 가는 줄도 몰랐다. 그는 형인 양녕이 무시하던 세계 경영학과 국가 경영사에 관한 거의 모든 서적을 탐독하였고, CEO들의 성공과 실패사를 주모 면밀하게 연구하였다. 그럴수록 그의 국가 경영에 대한 지혜의 폭과 깊이는 한층 더 깊어져 갔다.


[‘다른 시대’에는 ‘다른 리더십’이 필요하다]


그러던 어느 날, 뜻밖에 날아든 차기 CEO 지명에 관한 통보는 그에게 정말 천지(天地)가 감응(感應)하는 벅찬 감동을 불러 일으켜 주었다. 그는 자신에게 국가 CEO라는 엄청난 과업이 주어지자, 무엇부터 해나가야 할지 스스로 마음을 가다듬었다.


그는 언젠가 태종이 슬쩍 지나가는 투로, ‘역사는 시대에 따라 다른 형태의 지도력을 요구하지.’라고 하던 말을 기억해 냈다. 그 자신 부왕인 태종에게 국가 경영에 관한 프리젠테이션을 간접적으로 하던 자리에서 였다.


[기회가 어디에 있느냐?]


CEO가 되자, 세종은 신생 조선의 ‘기회’에 주목했다. 조선 초는 그 어느 때 보다도 거대한 불확실성의 시대였다. 원(元)에서 명(明)으로 세계 경영 패권의 판도가 바뀌고 있었고, 국가 경영 철학이 바뀌었으며, 세계 곳곳의 문물은 거침없이 흘러 들어왔고, 인재들은 - 세상 밖으로 숨고, 다시 세상 안으로 스며들면서 - 들끓었다. 그리하여 세종은 자신이 조선의 CEO라는 최고의사결정권자의 지위에 오르게 된 것을 그 자신 모든 역량을 발휘해 무엇인가 이루어 낼 수 있는 기회의 원천으로 인식했다.


특히, 세종은 세계가 변화하는 시기에 요구되는 ‘개방성’과 ‘기회’에 주목했으며, 스스로 자신의 통찰력을 빠르게 키워나가고자 했다. 세상을 빠르게 읽을 줄 안다는 것은 경영의 큰 힘이다. 중국을 통해 흘러 들어오는 이슬람의 과학과 IT기술이 가진 파급력에 그는 우선 주목했다. 이러한 문물을 ‘조선의 것’으로 만들기만 한다면, 그것은 매우 강력한 생산력 확대의 수단이 될 수 있었다.


더구나 지금은 변화와 교류의 시기였다. 따라서 아직 땅이 물렁물렁 했다. 이 결정적인 타이밍을 잘 포착하지 못한다면, 다음 기회는 또 언제 올지 몰랐다. 그는 이 모든 것을 신생 조선이라는 젊고 싱싱한 나무가 빨아 들여 ‘우리 것’ 화(化)시키기로 결심했다. 그러기 위해 그는 자기 신념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꼈고, 또 한편으로 국가 경영의 비전을 강화하고자 했다.


[채찍은 자신을 향해 내려치는 것이다]


세종은 그의 신념이 그저 말뿐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스스로 채찍질을 했다. ‘세종호’의 선장이 된 이상, 변화의 바다 속으로 뛰어들어야 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했다. 거기엔 분명 풍랑과 암초가 있었지만, 그것을 극복하고 난 다음에는 충분히 그에게 이익을 약속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세상이 반드시 있을 것으로 그는 믿었다. 그는 수성(守成)이 창업 만큼이나 쉽지 않다는 사실을 새삼 절감했다. 세종은 자신에게 주어진 길이 창업(創業)을 거쳐 수성(守成)으로 가고 있는 ‘신생 조선’에 확고부동한 토대를 놓는 것이라는 것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얼마 되지 않은 짧은 조선의 창업사를 돌이켜 보았다. 그리고 마음속으로 굳게 다짐했다.


“창업의 시대에는 물리적 수단을 통해 혁명적 변화를 요구한다. 그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피를 흘리는 것도 때로는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내가 맡고 있는 시대는 창업에서 수성으로 넘어가는 시기다. 수성은 결코 힘만으로 되지 않는다! 그것은 세련된 문화적 경영 능력을 요구한다. 옛날 사람들은 이러한 통치력을 ‘덕치(德治)’라고 불렀었다. 우리의 국가 경영 이념인 유학(儒學)은 바로 이 점을 강조한다. 그렇다면 나는 수성 CEO로서 그에 맞는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탁월성은 반드시 입증되어야 한다! 만일 내가 이 점을 입증해 내지 못한다면, 나는 그저 그랬던 CEO의 한사람으로 역사 속에 파묻혀 버리고 말 것이다. 기회는 단 한번, 내가 살아 있는 동안뿐이다!”


그렇다면 이제 세종에게 남은 건 ‘혁신’이었다. 물론 이런 변화와 혁신은 포괄적이어야 했다. 너무 포괄적이어서 모든 것을 아울러야 했으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바로 그런 혁명적인 것이어야 했다.


[세종으로부터 배우는 경영 정신]


* 희망의 날을 벼리면, ‘그날’은 반드시 온다. 그러므로 경영자는 치열한 자기 노력을 한시라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사람들은 오히려 무딘 칼에 자기 살을 베이게 된다는 점을 명심하라.


* 시대는 매번 같은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당신의 리더십이 훈련되어 있다면, 그것은 반드시 때를 만나게 될 것이다. 현시대의 리더십은 이미 굳어졌다. 이제 다음 세대에 맞는 ‘다른 리더십’이 당신을 이끌어 줄 것이다.


* 무엇이든 ‘들끓는’ 것에서 건저 내라. 거기엔 언제나 녹아 있는 뭔가가 있다. 세상을 빠르게 읽고 대처한다는 것은 바로 이런 것이다.


* 무슨 무슨 ‘화(化)’가 된다는 것은 바로, 그것이 ‘과정’임을 의미한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이밍이다. 내 땅을 표시하는 말뚝은 땅이 굳기 전에 반드시 박아 넣어야 한다.


* 창업이나, 수성이나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그것은 언제나 당신이 확고한 토대를 만들려고 애쓰는 것을 의미한다. 애써라! 그것이 CEO 로서 당신의 자세이어야 한다.


*‘덕(德)’은 돌아앉지 않는다! 이 점에서 당신의 리더십은 입증되어야 한다. 흐르는 시간 만큼 순리적(順理的)인 것은 없다. 시대를 담아내는 것만큼 포괄적인 것도 없다. 이런 자연스런 흐름을 덕으로 감싸 안아라.


ⓒ전경일, <창조의 CEO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