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 세종은 변화를 올바로 관리했다. 그에겐 변화를 통제하는 내적인 힘, 즉 경영의 ‘내력(內力)’이 있었다. 주변의 변화에 휘둘림을 받기보다는 대나무처럼 꼿꼿하게 원칙을 지키되, 휠 때는 과감하게 휠 줄도 알았다. 그러한 유연성은 변화를 수용하고 주도하는 세종 리더십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변화를 받아들이되, ‘변화’보다 오히려 더 강한 추진력과 속도로 그는 변화 앞에 가 있었다.
그는 항시 이런 방식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했다. 연이은 프로젝트들과 국가 경영상의 주요 과제들은 바로 이것을 충분히 입증해 주고도 남는다. 고려라는 구시대의 중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세종은 신생 조선의 에너지의 대부분을 여기에 쏟아 부어야 했다.
이것이야말로 세계의 조류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이를 리드해 나가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세종의 이같은 노력의 결과로 신생 조선은 안정과 성공의 궤도에 신속히 접어들 수 있었고, 조선은 스스로 가고자 하는 미래 비전의 확고한 밑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그는 진정 변화의 마스터(master)였다. 물론, 그 시기 대부분의 정책이 ‘상부,’ 즉 CEO의 지시로부터 출발한 측면을 부정할 순 없다. 당시의 인재들은 CEO의 올바른 리더십에 따라 발굴되고 육성된 인물들이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이 리더였으며, CEO 세종을 ‘리더를 리드하는 리더’로 격상시켜 주었다. 세종과 더불어 변화를 받아들여, 이를 역사의 장(場)에 주물(鑄物)해 낸 사람들도 바로 그들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집현전을 위시한 그 시대 신생 조선의 인재들은 세종시대 진정한 비전 창조의 파트너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조선의 창업과 세계사적인 환경 변화로부터 출발했다. 현명한 CEO 세종은 바로 이러한 세계 변화의 환경을 목도하면서, 경영의 방식이 바뀌었다는 것을 깨닫고 신속히 자기 변화를 꾀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변화를 수용함으로써, 자신과 ‘조선’이 바라는 결과를 분명히 하고자 하였다.
역사를 평가할 때 다만 아쉬운 것은 이렇듯 조선 초 강력한 사상 통일의 중심이 된 유학이 훗날 더 이상 조선 발전의 연료가 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기득권이 정해지고 나자, 그 후론 작은 기득권의 강화와 더불어 현상유지를 위한 사소한 개선만이 논의되는 수준이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국가적 에너지는 기득권 유지를 위한 패권 쟁탈전에 무의미하게 소모되었다. 근대 들어 우리 역사의 어려움은 이런 변화의 결과를 분명히 깨닫고 이를 앞서 준비해 나가지 못한 데 있다 할 것이다.
[경영은 배우는 것이다. 배움과 경영이 시너지를 일으키도록 하라]
세종은 처음부터 모든 해답을 갖고 있던 CEO가 아니었다. 그가 CEO로 발탁된 이유는 조선이 떠안고 있는 현실 문제에 있었다. 그것은 국가 경영은 어떻게 해야만 하는가, 창업에서 수성으로 넘어 가는 과정은 어떠해야만 하는가, 하는 따위의 질문 속에 있었다.
세종은 이 모든 질문에 대해 바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 점이 그가 CEO로 임명된 이유였다. 그런 연유로 세종은 조선의 제 4대 CEO가 되었고, 이런 질문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누구나가 다 인정하듯 탁월한 CEO로 자신을 발전시켰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의 치적(治績)은 당대는 물론 역사로부터도 충분한 - 사실 세종에 대한 평가는 미흡한 측면이 너무 많다. - 대답을 들었다. 그것은 결코 쉽지만은 않은 문제였다. 대개의 경우 그가 한 일은 후대 보통의 CEO들은 피하고 싶어하는 이슈들이었고, 실제로 피했던 문제들이었다. 괜히 일을 만들어 번잡을 떨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앞으로 얘기할 한글창제와 각종 IT 관련 프로젝트들이었다.
[세종으로부터 배우는 경영 정신]
* 변화의 시기에는 ‘융합’이 생겨난다. 무엇을 뭉치게 할 것인가. 그것이 늘 문제다.
?* 변혁의 시대에 맞는 CEO로 재빠르게 자신을 재창조하라. 이같은 자기 혁신의 노력은 결코 끝이 없다. 이를 위해 자신과 조직을 모든 면에서 계속 갱신해 나가라. 그것이 당신의 임무다.
* 모든 변화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가동하라. 기꺼이 새로워지기로 했으면, 당신은 개혁과 혁신의 선두에 서야 한다. 뒤에 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건 앞 사람 뒤통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명심하라.
* ‘문제’와 ‘해결방안’은 ‘구조’와 ‘사람’ 양쪽에서 다 있다. 당신이 계속 현실 문제에 대해 탐침을 한다면, 결국 당신은 거기서 뭔가를 얻어낼 것이다.
* CEO는 자기실현적 예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믿어 의심치 않아야 당신은 이루어 낼 수 있다.
* 변화를 관리하는 데는 내적인 힘이 있어야 한다. 이것이 변화의 결과를 분명히 만들고, 당신을 리드해 나가게 만든다.
ⓒ전경일, <창조의 CEO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