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

국가경영자로서 세종대왕 다시 읽기

by 전경일 2009. 2. 3.


하늘(.)과 땅(ㅡ)과 사람(ㅣ).


혁신은 천지인의 조화를 위해 새로운 창조적 동력을 얻어내는 데서 출발한다. 세상을 뜨겁게 끌어안고, 현실의 모순을 극복하며, 누구도 감히 상상치 못한 창조적 결과물을 내놓는 것이다. 경영에서 과거는 죽음이다. 경영이란 역류에 몸을 던지는 행위가 아니던가! 소아(小我)를 버리고 대승(大乘)을 드높게 세우는 것, 그것이 국왕의 소임이다. ‘대왕세종’ 방영 후 세종대왕과 그의 국가경영실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드라마야 픽션이니 만큼  재미를 더하는데 몰두하겠지만, 세종시대에는 어떻게 해서 그 많은 창조적 성과가 나올 수 있었는지 궁금하다. 게다가 이런 경이로운 경영을 펼친 CEO는 어떤 사람이었을까, 그의 경영상의 고민은 무엇이었을까? 해답의 열쇠는 천지인(天地人)에 있다. 유학에서 백성은 국가경영의 최대목표이자, 대상이다. 그 경영목표의 밑바닥과 최상부에는 백성들이 외롭고, 힘들게 눈물 나도록 어여삐 놓여 있다. 세종은 백성의 삶을 목도하며 가슴 벅찬 경영에로 자신을 몰아세운다. 국왕의 소임은 하늘을 대신해 백성을 다스리는(代天而物)것, 오로지 애민하는 것이다. 세종이 스스로를 각성시키고 혁신과 창조의 길로 뛰어드는 배경이다. 온갖 병마에 휘둘려 하루 한 동이의 물을 마셔야 할 만큼 ‘목마름병‘을 겪던 세종은 열 살 때부터 가혹한 자기훈련과 극한의 경영수련을 쌓는다. 경영자로서 살아서 다했고, 죽어서 영원으로 남았다. 원ㆍ명교체기에 대제국 원이 남긴 자산을 조선의 것으로 전환시키며, 대풍평(大豊平)의 세상을 열어젖힌다. 이전의 벤치마킹은 창조로 대체되고, 구습은 혁신된다. 그 결과물은 찬란한 문명으로 나타났다. 시대의 담론, 비전을 통사적(通史的)으로 꿰고, 빌려 온 것조차 독창적 가치로 승화시켰다. 이슬람 기술을 벤치마킹한 <옥루> 제작 프로젝트는 우리만의 독창적인 것으로 거듭난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장영실을 통해 세종이 시계를 만들은 것은 국왕 스스로 경천근민(敬天勤民)하는 ’경영의 시간‘을 알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 외, 전 분야에서 생산성도 가히 폭발적이었다. 인쇄물, 농업 등에서의 생산성은 고려 말 대비 작게는 300페센트에서 4000퍼센트까지 증가한다. 뼈를 깎는 경영혁신의 결과였다. 창조의 완성을 이룬 결정판은 <훈민정음>이다. 온갖 방해를 물리치고 세종은 한글 창제로 영구한 국가경영자의 위상을 지니게 된다. 이 무궁무진한 글자는 혁명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세종경영철학의 핵심인 하늘, 땅, 사람의 조화로운 경영을 우리글 속에 녹여 부은 것이다. 세종은 600여년 전 국왕이지만, 그의 경영은 영원으로 남는다. 세종이 이룬 혁신과 창조의 노력은 21세기 경영자들에게 혼신을 다해 현재를 뛰어넘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전경일,창조의 CEO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