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

충성과 의리의 돌쇠모델 만들기

by 전경일 2009. 2. 3.

 

사람을 내 편으로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내 수족처럼 쓰기 위해서는.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사고하고, 한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이런 질문은 어느 시대, 어느 경영자나 다 같이 하는 고민하는 것일 터. 만일 여기에 기꺼이 답할 수 있다면, 천하에 무엇을 얻지 못할까 싶다.

 

이를 위해선 푸쉬(push)보단 풀(pull)전략이 주효하다는 것을 역사는 잘 보여주고 있다. 밀어내거나, 제거하는 방법보다 당길 수 있는 ‘힘’이 있다면, 천하는 이미 다 주어진 셈. 능히 모든 것을 제압하고도 남는다.

 

역사상 정적(政敵)에 대한 많은 사면과 복권이 이루어졌음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사실.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이런 일은 비일비재하게 일어난다. 얄팍한 술수가 아닌 진실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면, 이런 풀 전략은 내ㆍ외부적으로 오히려 충성의 돌쇠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가 아닐까?

그렇다면 고려를 대신해 창업한 조선 초기엔 어땠을까?

 

조선 창업에 반대한 고려 인사들은 당연히 제거의 대상. 대표적인 이가 바로 <단심가>의 정몽주다. 하지만 그의 고려에 대한 충성과 의리는 되려 조선 창업자들에게 역이용된 측면이 없지 않다.

누구나 알다시피 포은의 충성심이 두고두고 빛나는 것은 그를 살해한 태종 이방원 때문. 태종은 정몽주가 고까워도 죽은 그를 끌어안지 않을 수 없었다. 아니, 오히려 끌어안음으로써 자신의 아량은 물론 그의 아들이자 차기 조선의 CEO인 세종에게 부담감을 물려주지 않으려 했다. 결자해지적 방법이었다고나 할까?

 

사실 그 무렵 조선 창업에 반대한 정몽주 시해사건 및 그로 인해 불거진 고려 충신들의‘조선 충신 모델화’작업은 태종-세종 두 부자에게는 역사적 부담거리가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이 두 임금은 이를 역으로 이용해 절호의 국면 전환 기회로 이용하게 된다. 불리한 사건에서 오히려 국면 전환의 전기를 마련했다.

 

이를 이어 세종은 획기적이고 과감한‘정적 끌어안기 전략’으로 고려 충신들의 명예를 복권시켜 준다. 이런 조치로 정몽주, 길재 등 고려 충신들이 복권되고, 한 술 더 떠『삼강행실도』에서는 신하들의 충성이 무엇인지 알게 하려고 길재를 벤치마킹 사례로 활용하는 등 고려 충신들에게 생명력을 불어 넣어준다.

 

그렇다면 이런 일련의 조치의 목적은? 자신에 대한 충성심을 한껏 고양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충성의 양뿐만 아니라 질까지도 업-그래이드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세종의‘껴안기 전략’은 그가 화해의 시대를 열어 가는데 조금도 부족하지 않았다.

 

이로써 세종은 얻은 건 무엇일까? 충성과 의리의 돌쇠 모델을 계속 강조하고, 충신들을 무한 카피 캣(copy cat)할 수 있었던 것. 더불어 이런 조치를 통해 창업기 조선의 군왕들은 후세 신하들의 충절의 수위를 한층 더 높여 놓을 수 있었고, 그만 못한‘충(忠)’은‘불충(不忠)’으로 다스릴 수 있는 매우 탁월한 장치를 마련해 둔 것이었다. 다시말해 충성 모델의 시스템화가 이루어졌던 것이다.

 

흔히 비즈니스에서 얘기하는 "자신의 약점을 전환하면 오히려 가장 강력한 강점을 만들 수 있다."는 전략이 바로 이것. 역사에 등장하는 영웅호걸들은 하나 같이 넓은 아량으로 적을 내 편으로 만들거나, 적장의 장례까지 후하게 치뤄 주는 등 조치를 취했다. 그럼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민심까지 휘어잡는 예들을 보면 사람의 마음을 얻는 건 바로 리더의 마음 쓰기에 달려 있음을 보게 된다. 만일, 이 간단한 것만 행할 수 있다면 말이다.

 

하지만 이를 알면서도 실행하지 못하는 건 결국 생각의 크기 때문일 터. 보이지도 않는 그 속을 누가 나무라겠느냐만은 역사는 내 강점만 부각시키려 하면 작디 작은 인물이 되고, 남을 인정하고 키워 주면 내 힘도 무한히 커진다는 것을 묵묵히 가르치고 있으니...

 

그걸 알면서도 행하지 못하는 건 결국 리더의 그릇 크기에 달려 있다 할 밖에.

ⓒ전경일, <창조의 CEO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