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

[창조의 CEO 세종]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다

by 전경일 2009. 2. 3.
 

조선의 근간이 된 경영철학은 유교의 ‘민유방본(民惟邦本),’ 즉 “백성은 나라의 근본(根本)이다.”라는 것이다. 이처럼 ‘민본(民本)정신’은 조선 창업의 이념이자, 세종 경영의 핵심 사상이다. 그렇다면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세종은 백성을 다스리는 대상으로 본 것이 아니라, 인간의 천부적인 존엄성을 존중하고 이를 보장하려는 국가 경영관을 가지고 이를 실천해 나갔다.


조선을 유교적 이념의 실천의 장(場)으로 본 세종 - 그는 조선의 첫 공식 유교 CEO였다! - 은 언제나 자신의 경영 지표로 ‘민본’을 삼았고, 그의 정신 속에는 늘 ‘하늘(天)’이 있었다. 그리하여 그는, 한 국가의 CEO는 “하늘을 대신하여 만물을 다스리는 것이니, 백성들을 편안하게 하고 양육하는 마음을 먹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대천이물(代天而物)’ 사상이라고 한다. 하늘로부터 국가 경영권을 위임받아 그 소임으로 사람들로 하여금 ‘살아가는 즐거움(生生之樂)’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진정한 국가 CEO의 책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다음과 같이 조선의 CEO로서 ‘자기 선언’을 하게 된다.


“인군은 하늘을 대신하여 만물을 다스리는 것이니, 마땅히 천도(天道)를 따라야 한다.”(『세종실록』12년 3월 임인)


[경영은 덕(德)과 사랑으로 하는 것이다]


이같이 천인일치(天人一致)의 도리를 깊이 알아서 실천해 가는 경영, 즉 ‘CEO의 덕(德)’을 바탕으로 한 경영을 세종은 CEO로서 자기 과제로 인식했던 것이다. 이런 세종의 경영 자세는 세자 - 후에 문종이 됨. - 를 책봉하면서 당부한 말에서도 잘 드러난다.


“아아! 하늘은 친함이 없고 오직 덕(德) 있음에 돕는다. 어짐으로써 또 성장하여서 백성을 보살펴 갈 권한을 받았으니 검소함과 관대함을 다하여 나라의 경사스러움을 더해 갈 것이다.”(『세종실록』3년 10월 병진)


이는 하늘에 감응할 정도의 리더십, 즉 덕(德)을 갖추지 못하면 국가 CEO도 그 위치를 잃게 될 수 밖에 없다고 하는 경각심에서 나온 말이다. 이것은 만인지상인 국가 CEO라도 하늘 아래 있으며, 하늘의 감시 하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늘의 뜻을 잘 알아 조심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이야말로 백성을 잘 보살피는 것이고, 그것이 ‘위민(爲民)’인 것이다.


이러한 정책 기조 하에 세종은 국가 CEO라는 직업은 “오로지 애민하는 것이다.”(『세종실록』19년 1월 22일)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백성의 생활을 직접 접하는 수령과 감사들에게 백성에 대한 배려를 철저히 할 것을 강조하여, “만약 한사람의 백성이라도 굶어 죽는 자가 있다면, 감사와 수령에게 죄를 묻겠다”(『세종실록』원년 2월 12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세종이 새로 임명된 수령을 일일이 접견하고 이들에게 백성의 진휼을 당부 - 이런 면접은 세종 일대를 통하여 일관되게 지속 되었다. - 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또한 ‘백성을 위한 국가경영’을 위해 그는 노비를 ‘천민(天民)’이라 표현했다. 더불어 흉년이 들면 조세를 면제했으며, 감옥에 갇힌 죄수의 건강을 염려하여 여름에는 물동이를 준비하게 했다.

유교라는 사상 통일을 이루내고, 이를 통해 진정한 국가 경영에 나서기 위해 세종은 말뿐이 아니라, 실제 하늘에 듯에 합하는 인도주의적인 원칙을 계속해서 지켜나갔던 것이다. 세종시대 국가 발전의 밑받침은 바로 여기서 출발했다.


[백성에겐 ‘교육’이 필요하다]


세종에게 있어서 국가 경영은 ‘경영’과 ‘교육’이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그는 백성을 지배의 대상으로 보기 이전에 보호와 교육의 대상으로 보았다. 세종은 정책 수립 과정에서 오히려 백성의 편에 서서 여러 관료들과 종종 논쟁을 벌였고,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육자로서 세종의 가장 커다란 업적인 「훈민정음」은 바로 그러한 교육적 배경에서 나온 것이다. 이는 민본 의식과 더불어 그 자신 CEO이면서 ‘백성의 스승’이 되어야 한다고 믿은 데서 나타났다. 세종은 백성에 대한 ‘교육’을 CEO로서 자기 사명감으로 인식하고, 이를 일관되게 추진해 나갔던 것이다.


그런 교육용 목적으로 쓰여진 책이 바로『용비어천가』였다. 그는 조선 창업에 끈질기게 달라 붙었던 바로 그 도덕적 시비를 원샷에 해결하고 일반 백성들로부터 충성심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 뭔가 파워풀한 홍보물을 필요로 했다. 그 자신 가장 혁명적인 O/S인 한글을 개발하고 나서, 이를 처음으로 활용해 만든 컨텐츠가 『용비어천가』였다. 조선 초기의 찬시 중에서 가장 기념비적인 이 용비어천가는 248편의 장대한 서사시(敍事詩)로 세종이 조선의 정통성을 드러내고, 후세 CEO들이 국가 경영을 잘 하도록 매우 심혈을 기울여 만든 교육용 교재였다.


주: 『용비어천가』는 조선 창업이라는 가장 가까운 과거의 역사에 정통성을 부여하고 이를 항구적으로 사실화하기 위해 씌여진 시와 역사의 혼합형 장르였다. 그동안 기록으로 보존된 사실들과 백성들 사이에 전해오던 전설들을 1437년에 수집하면서 시작되었다. 1446년 10월부터 1447년 3월까지에는 일곱 명의 집현전 학자들이 한글 시를 완성하였으며, 1447년 2, 3월에 이르러 10장의 주해가 완성되었다.


ⓒ전경일, <창조의 CEO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