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

[창조의 CEO 세종] 선례(先例)로부터 배우고, 다시 선례가 되어라

by 전경일 2009. 2. 3.
 

세종은 결코 전임 CEO들이 했던 방식을 그대로 따라하지 않았다. 비록 중국과 고려의 옛 제도에서 많은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는 했지만, 이는 벤치마킹을 위한 것이었다. 이는 세종이 중국의 옛 제도를 참고하면서도 한편으로 조선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다양하게 우리에게 맞는 방법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의 CEO로 취임 후 세종이 처한 현실은 세상을 바라보는 그의 방식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세상은 세종이 CEO가 되기 전에 알고 있던 것 보다 훨씬 더 크게 중국을 중심으로 돌고 있었다. 그에 비해 조선은 너무나도 빈약해 보일 수 밖에 없었다.


[세종, 현실을 직시하다]


세종은 조선을 과거에 묶어 두지 않았다. 현실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현실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은, 현재를 직시하는 데서 나온다. 따라서 과거의 사실(史實)로부터 빠른 시간 내 배우지 않는다면, 그는 국가 경영을 이해하는데 너무나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선임자들이 어떤 문제를 갖고 있었는지 아는 것은 그 자신 자기 방식을 찾을 수 있는 비표(秘標)가 되어 주었다. 만일 그것을 모른다면, 그 자신 미래의 조선에 미칠 긍정적 영향을 결코 찾아내지 못할 것이었다. 세종은 선대와 선례로부터 배웠으나, 그 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났다. 그리고 이것은 이전을 업-그래이드한 수준이 아니라, 그것과 완전히 차별화시킴으로써 차원을 달리한 것이었다.


[탱자를 귤로 만드는 것은 CEO의 역량이다]


세종의 이러한 노력은 여러 제도적 측면에서 봤을 때, 이전과 크게 달라 보이지 않았으나, 분명차별화 되는 것이었다. 중국에서 가져온 사상과 문물 중에서 원산지를 뛰어 넘어 조선에서 더 활발하게 발전을 이루어 낸 예는 일찍이 드물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중국의 성리학이었으며, 또 이슬람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일련의 과학기술들이었다. 또한 금속 활자와 같이 우리 고유의 기술적 성과들은 실제 내부로부터의 계승을 통해 -고려시대의 금속활자 전통으로부터 - 개발된 것이었다.


세종이 법을 만듦에 있어 중국의 고제(古制)에 비추어 합당한 법을 만들고자 했음은 선례나 선대로부터 배웠던 또 다른 예가 된다. 그는 고전적 선례의 장점을 그대로 취하면서도 조선의 규범에 맞는 국가 경영의 지침으로써 법을 해석한 것이다. 그리하여 세종은 자신의 국가 경영이 완벽한 선(善)의 경지에 이를 수 있도록 끊임없이 법을 수정하고 보완했던 것이다.


[CEO는 자기 ‘부담’을 ‘모범’으로 전환시킬 수 있어야 한다]


세종이 선례나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역사적 부담’도 ‘모범적 사례’로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은 CEO에 대한 충(忠)을 강조하는 부분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 정몽주ㆍ길재 등을 복권시킨 것은 조선 수성기에 와서 다시 조선을 위한 ‘충신불사이군’의 논리를 만들어 내는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선례가 되었다. 그리하여 그는 자신도 후대 CEO들에게 선례가 된다는 생각 하에 『용비어천가』의 후미를 매우 상징적으로 장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그야말로 화려한 ‘선례’로 자신을 남긴 극히 세종다운 조치였다.


이처럼 세종은 크고 작은 다양한 일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중에는 자신보다 더 나이든 이전의 리더들을 끌어안기 위해 비록 정치적 실권은 없지만, 종친부ㆍ충훈부ㆍ의빈부 등을 새로이 신설 또는 확대 개편해 그들을 예우한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의 이러한 조치들은 결코 작은 것이 아니었으며, 그에 대한 공경과 칭송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한 조치였다. 다시말해 평판에 대한 관리를 CEO 스스로 해 나갔던 것이다.


[세종으로부터 배우는 경영 정신]


* CEO 자신의 시각을 과거에 묶어 두지 말라. 현실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현재를 직시하는 것이다.


* ‘원산지’를 뛰어 넘는 발전을 이룰 때, 당신은 남들과 차원을 달리하게 된다. 이것이 새로운 전통이 된다. 당신이 경영을 어떤 ‘경지’의 수준으로 끌어 올린다는 얘기는 스스로 하나의 ‘규범’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오늘의 불리한 조건은 언제든지 내일 유리한 조건으로 다시 바뀔 수 있다. 따라서 CEO인 당신은 지금 당신에게 가장 부담스러운 요소를 가장 모범적인 것으로 전환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당신이 ‘선례’가 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전경일, <창조의 CEO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