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

[창조의 CEO 세종] 역사상 최고의 CEO는 누구인가?(2)

by 전경일 2009. 2. 3.

 

경영 시스템을 작동시키다

 

세종 경영의 특징은 유연성에 있다. 그는 환경 분석을 통해 전략을 수립했고, 이를 통해 전략을 실행했다. 또한 이를 평가하고 통제하면서 일련의 시스템을 단계별로 발전시켜 나갔다. 이는 실로 오늘날의 경영 전략이나, 경영 시스템과 결코 다르지 않다.

 

그는 현실의 가변적 요인에 대해서도 매우 유동적인 입장을 취함으로써 경영을  물 흐르듯이 전개되도록 했다. 사실 그의 국가 경영상에 있어 전략의 수립과 실행은 어디까지가 수립이고, 어디부터가 실행인지 명확하지가 않다. 이미 수립과정 속에 실행이 고려되고, 준비되어 있었다. 지시가 있기 전에 세종 자신의 치열한 내면의 고민과 연구가 진행되었던 것이다. 이는 그의 전략 수립과 실행 프로세스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세종에게 있어 성공적인 전략은 수립과정에서 이미 실행되기 시작한거나 다름이 없었다.

 

이는 세종의 국가 경영 전략에 잘 드러나는데, 그는 취임과 동시에 어떤 나라를 만들고 싶다는 비전을 CEO로 임명되기 전부터 세운 것 같다. 그 다음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목표, 국가 경영 전략, 실행 전략을 세우고 그 단계가 하부로 내려가면서 구체적인 결과로 나타나기를 기대하고 이를 후원했다. 그가 취한 경영 시스템은 결코 ‘위임’만 한 것이 아니었다. 그 자신 프로젝트를 직접 관리한 것이나, CEO에게 직접 상소케 하고, 신문고를 운영하는 등의 조처를 취한 것은 직접 실무를 관장하겠다는 것이었으며, 나아가 하부의 필터링(filtering)을 막고자 한 것이기도 했고, 동시에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하고자 한 일련의 국가 경영 기조에서 나온 것이다.

 

 

 

 

대안과 시나리오 경영을 하다

 

세종은 CEO가 되면서, 창업자이자 전임 CEO인 태조와 정종, 그리고 태종으로부터 받은 경영 자원과 역량을 어디에 집중할 것인지 선택하게 된다. 즉, 국가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전략적 이슈를 명확하게 정리하며, 구체적인 실행 영역을 결정해 자원을 배분하고 운영 지침과 우선순위를 마련하게 된다. 그것은 그의 정책 실행의 효율성에 입각한 의사 결정이었다. 그는 또한 실행이 부드럽게 될 수 있도록 전략적 대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결코 소홀하지 않았다. 나아가 자신이 추구하는 일에 대해 조직 내부에서 합의가 이루어지도록 절차상 합일되게 하는 모범적인 방식을 취했다. 통합 보고 체계를 가동했던 것은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또한, 국가의 능력이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조건적으로 이상적인 목표에만 따라 가지 않았다. 사대의 모습을 취하면서도 자주적인 방식을 창조하고 구현한 것이 대표적인 예다. 그것은 실행 가능한 대안을 만드는데 그가 귀재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은 분명, 후대에 이르러 유교적 사고에 꽉 막혀 앞을 내다보지 못한 수많은 국가 CEO들과 완전히 차별화된 요소였다.

 

 

 

 

리더십의 황제로써 세종

 

일반적으로 리더는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일정한 방향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도록 영향을 주는 사람을 말한다. 또 팀에 승리를 가져오는 사람을 말한다. 언제나 세상 경영은 혼자만의 힘으로 되는 게 아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를 위해 ‘균형감각’은 그런 의미에서 매우 중요하다. 바로 여기에 리더십의 원칙이 있다.

 

진정한 리더십은 단순히 어떤 분야에서건 ‘상(上)ㆍ하(下)’간의 문제로만 접근하지 않는다. 일방적인 명령과 통제는 혼이 묻어나는 결과를 가져오게 할 수 없다. 성공적인 리더십은 바로 발전적 전망을 갖는 ‘관계’를 만드는 것이다. 세종은 바로 이런 점에서 탁월했다.

 

 

 

 

별들은 북극성 주위로 돈다

 

『논어』에 말하기를 정사(政事)를 덕(德)으로 하는 것은, “북극성이 제자리에 머물러 있으면 여러 별들이 그에게로 향하는 것과 같다(爲政以德 譬如北辰居基所 而衆星共之).”고 했다. 세종이 바로 이런 사람이었다. 그의 국가 경영은 항시 원칙에 충실했고, 그것은 솔선수범과 겸양 그리고 절제를 동반한 것이었다. 국가 CEO의 자리에 있으면서도 겸양지덕을 갖출 수 있는 CEO가 있다는 것은 오히려 그와 함께 일을 한 사람들의 복이기도 하다. 또한, 그것은 선정(善政)의 국가 경영이라는 차원에서 만백성의 혜택이기도 하다. 그는 만인지상의 위치에 있으면서도 결코 전횡하지 않았다. 충분히 그럴 수 있는 위치에 있었지만, 스스로 북극성이 되어 중심을 확고히 잡고 나갔다. 고려에서 조선으로 바뀌는 시기에 고려의 충신 후손들을 다시 영입토록 한 것은 결코 쇼맨십 따위의 비루한 착상에서 나온 것이 아니었다. 그야말로 ‘대평화’와 ‘절대 화평’의 세계를 꿈꾸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늘상 꿈꾸어 오던 ‘희호지락(熙皞之樂)’ 과 ‘생생지락(生生之樂)’의 세상을 만들겠다는 국가 경영 슬로건에 잘 드러나 있다.

 

 

 

 

인재들이 모였다

 

그런 그를 역사는 환영했다. 숨어 있던 인재들은 대거 쏟아져 나왔고, 세종은 그들을 맞아 들여 더욱 유능한 인재로 키워 냈다. 사실 세종이 이끄는 신생 조선과 같이 뭔가 할일이 많고, 활력에 넘치며, 발전하고 있는 조직에는 자연히 인재가 모이기 마련이다.『관자(管子)』에 나오는 말을 그는 마음에 새겨 인재 확보와 육성에 주력했던 것이다. “바다는 물을 거부하지 않으며, 산은 흙을 사양하지 아니한다(海不辭水 山不辭土).”는 말은 바로 세종의 인재관을 이해하는데 분명 하나의 기준이 된다.

 

사실, 인재를 주변에 끌어 모을 수 있는 것만큼 훌륭한 리더가 어디에 있겠는가? 결국 한 사람의 CEO의 탁월성은 그가 만들어 내는 제반 인간관계의 성숙도와 완성도 측면에서 평가 받을 수밖에 없다. 동기를 부여하고 효과적인 인간관계를 향상시킨 점에서 세종의 리더십은 역사에 크게 부각되었던 것이다.

 

 

 

 

자신에 선견성을 부여하다

 

세종의 국가 경영은 매우 생산적이며, 동시에 성공을 관철시켜 나가는 과정이었다. 더구나 그의 리더십은 신하와 백성들, 더 나아가 유구한 역사 속에서 ‘자기 평가’를 통해 ‘관계 형성’을 이루어낸 것이기도 했다. 이것은 올바른 자기 처신과 선견성이 없으면 이루어 낼 수 없는 것이었다. 예컨대, 그의 선견성은 세계에 대한 응시를 통해 독자적으로 다듬어 간 것이었다. 그는 이슬람을 통해 흘러들어 오는 많은 문물에서 힌트를 얻었다. 이것은 단지 과학 및 IT기술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것은 국가 경영에 관한 모든 것을 포괄했다. 그런 의미에서 세종의 국가 경영 목표와 이념 그리고 선견성은 그를 위대한 CEO로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것은 그의 부단한 노력 끝에 얻어진 것이었다.

 

자신의 발걸음을 보다

 

세종은 역사를 깊이 꿰뚫어 보았다. 역사 속에서 무엇인가를 배운다는 것은 그가 경영 비법과 사람 관계의 원칙을 올바르게 터득해 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예전 역사든, 중국의 역사든, 역사에는 반드시 길이 있다. 문제는 세종이 이러한 사서(史書)를 통해 자신이 디뎌야 할 올바른 발걸음과 피해야 할 발걸음을 명확히 구별해 낸데 있다. 그는 역사를 결코 허투로 공부하지 않았다! 이 점은 그가 역사 속에서 진정한 리더가 가야 할 길을 올바르게 제시받고자 한 데서 보다 분명히 나타난다. 세종의 경영자로서의 이 같은 수업은 그 자신 CEO의 자리에서 물러날 때까지 계속되었다.

 

세종의 이러한 공부는 겸양의 지혜를 두루 갖추고 있는 조선의 CEO에게 매우 침투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세종은 우리 역사상 가장 크게 개인 수양을 쌓은 리더로 볼 수 있다. 실제 리더십 발휘에 있어서도 그는 신하들의 마음을 얻고자 억지로 무엇을 하고 그런 것이 아니다. 그러나 어느 신하도 세종 앞에 와서 스스로 마음이 무너져 내리지 않는 신하가 없었다. 그의 경영은 이미 ‘도(道)의 경지’에 이르렀던 것이다. 이 런 특징은 신하들과 더불어 마음을 공유하는 데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전경일, <창조의 CEO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