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성경영/부모코칭 | 아버지의 마음

왜 우리에게 화내요? - 소통은 낡은 감정을 버리는 것부터 시작한다

by 전경일 2009. 9. 22.

부모인 내게는 낡은 감정이 우선하고, 지배적이었던 때가 있다. 이 같은 낡은 감정은 주로 생활 속에서 나타나며, 여전히 꺼지지 않는 화산과 같이 때로 폭발하곤 한다. 한번은 내가 아이들에게 버럭 화를 낸 적이 있는데 큰아이가 그런 ‘경우 없는’ 나를 맞받아치며 이렇게 대꾸했다.

“아버지가 화내는 건 우리 때문이 아니라, 실제론 회사 일 때문에 그렇거나 엄마하고 다퉈서 그런 거 아녜요?”

딸아이의 말을 듣고 나는 아이에게 도저히 거짓말을 할 수 없었다. 내가 만일 자기 합리화에 빠져든다면, 나는 가장 가까운 사람으로부터의 충고도 외면해버리게 되는 것 아닌가. 그럼으로써 더 큰 성숙의 기회를 저버릴 수 있다. 그건 부모로서 떳떳한 일도 아니다. 나는 솔직하게 나의 심적 상태를 인정했다. 양쪽 모두가 작용한 것 같다고, 이 점은 인정한다고, 그리고 미안하다고. 아이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러더니 나를 위로했다.

“아버지 다 잘 될 거예요. 아빤 이미 많은 걸 얻었잖아요.”

“뭘?”

“회사도 남들이 다 아는 회사에 다니시고, 글도 쓰시고, 무엇보다 우리 아버지잖아요.”

나는 아이를 덥석 끌어안아 주었다.

그 일로 인해 나는 많은 것을 배웠다. 때로 부모는 자신의 일이 잘 안 풀린다고 자기 분노나 좌절감을 아이들에게 드러내는 경우가 있다. 극단적인 경우로 홧김에 일가족이 물속으로 뛰어드는 것이나, 약을 털어 넣는 비극적인 일들이 신문지상에 비일비재하게 등장하고 있다. 가정뿐만이 아니다. 사회 전반적으로도 총체적인 ‘화(禍) 관리’가 필요할 정도다.

화를 내는 순간, 부모는 자녀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다. 자녀가 겁을 먹는 것은 화의 불똥이 자기에게 튀지 않도록 움츠리는 태도이지, 부모의 화가 설득력을 가져서 그런 것이 아니다. 부모가 적절하게 감정 절제를 하지 않는다면, 그 결과 아이들은 자존심과 자부심을 상실하게 되고, 부모와 멀어지며 상황은 더 악화된다. 이때 아이들이 느끼는 실망감을 별것 아닌 것같이 취급하고, 아이들의 감정은 중요하지 않다는 식의 태도를 취한다면, 아이들과 가까워질 기회는 점점 더 멀어질 것이다.

자녀가 심한 실망감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표시할 때에는 절대로 즉각 반박하지 말고, 그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감정을 함께 존중해주어야 한다. 그런 부모의 태도는 아이를 정신적으로 성숙한 인간으로 자라게 한다. 아이들의 문제가 아닌, 부모의 문제가 되도록 하라. 부모가 지속적으로 인성 훈련을 쌓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치미는 화를 견딜 수 없더라도 야구장이나 축구장에서 응원할 때 쓰도록 고함만은 아껴두자. 원칙과 규범 하에 실행하는 따끔한 체벌과 달리 부모가 절제 없는 폭력을 행사한다면, 아이는 부모로부터 자제력을 배우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런 아이는 교훈 대신, 두려움을 익히게 되고, 자라며 남에게 두려움을 주거나, 두려움을 받는 상황에 점점 더 익숙해지게 된다. 아이가 커서 폭력을 행사하는 부모가 되지 않게 하려면 부모가 무엇에 가장 주의를 기울여야 할지 잘 알 것이다. 나를 통제하지 못해 생기는 감정의 찌꺼기 따위를 버리고, 분명히 제어 가능한 감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아이들로부터 미처 배우지 못한 내게 큰 딸 애의 지적은 가장 뼈아픈 교훈으로 남았다. 나는 이 점에 대해 변명할 여지없다. 할 수만 있다면, 나를 가르친 아이들에게 부모로서 고마워할 밖에…….


<좋은부모되기> 바람직한 부모가 되기 위한 5가지 방법

우리는 자녀의 인생을 대신 살아줄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의 인생에 너무 깊이 관여하고 있지는 않은지 항상 돌아봐야한다. 레이 가런디는 <완벽한 부모가 될 필요는 없다>에서 다음과 같이 충고하고 있다.

1.아이를 남과 다르게 키운다는 생각을 하지 마라

사랑, 행복,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 정서적 안정, 믿음, 굳건한 부자간의 유대 같은 것들은 이 사회에서 ‘예외적인 것들’이 아니다. 그것은 보편적 가치이며, 일반적이다. 너무 자녀를 ‘사랑해야 한다’라고 생각하거나, ‘남달리 키우고 싶다’는 따위의 생각을 할 필요는 없다. 세계적인 야구 선수는 아빠와 공 던지기를 하거나, 동네에서 먼지 묻은 공을 던지던 그런 가장 흔한 경험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다.

2. 완벽한 부모는 없으며, 완벽에 가까운 부모도 없다

완벽에 너무 강박되어 있으면 정신적 혼란을 맞이하게 될 우려가 있다. 우리는 얼마든지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 완벽한 부모가, 남편이, 아내가, 자녀가, 직장인이, 시민이, 친구가, 연인이 ‘내’가 아니어도 좋다. 보통의 가치관과 불안정성으로도 우리는 즐겁게 살아갈 수 있으며, 부모와 자식 간에도 바람직한 관계를 이룰 수 있다. 이러면 되는 것 아닌가? 부모라는 지위로 혹여 신이 되겠다는 건 아니지 않는가? 그러면 됐다.

3. 자녀에게 항상 호감만 줄 필요는 없다

모든 부모는 때로는 자녀의 미움을 받는다. 이것은 건전한 부모가 겪는 현실이다. 부모가 싫어하는 입장을 거의 취하지 않고 규율을 지키라고 강요하지 않을 경우 아이들은 그들의 기분에 맞는 결정에 익숙해지고 마음에 안 드는 결정에 대해 인내심이 줄어들게 될 것이다. 호감, 그것은 때때로 구하기만 해도 된다.

4. 모든 일을 올바르게 할 수는 없다.

최선을 다하려고 전력을 하는 부모를 자녀가 몰라준다면? 완벽한 부모가 되려고 애쓰다 보면 오히려 부족감과 죄책감만 느끼게 되고 효과는 줄어든다. 최고의 선택이 아니라 최선의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을 명심하라. 중요한 것은 아이들이 부모가 노력하고 있고, 그들을 사랑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점이다. 부모도 인간이기 때문에 자신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해서는 곤란하다. 신처럼 전지전능해 지는 대신에 따분해지고 싶은 건 아니지 않는가?

5. 부모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으면 실패할 가능성은 없다.

부모는 자신의 역할이 기대 이하일까 봐 두려움을 갖고 있다. 자녀를 더 좋은 환경에서 살게 해주지 못하는 것에 대해 미안해하고, 경제적으로 더 뒷바라지 못해주는 것에 대해 늘 안타까워한다. 그러나 지금 이 정도도 당신은 아이에게 충분히 해 주고 있다는 것을 잊지말라. 부모의 역할을 포기하지만 않는다면, 자녀교육은 실패하지 않을 것이다.
ⓒ전경일.이민경, <부모코칭이 아이의 미래를 바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