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

세종대왕식 파업 대응법

by 전경일 2009. 2. 3.

 

백 투더 퓨처. 군주 시대로 돌아가 보자. <임금=권력의 중심>. 이 등식은 맞는가? 그렇다. 하지만 실행 방식까지 다 맞는 것은 아니다. 국가 경영이란 권력을 잡고 행사하는 것이지만, 그 힘을 드러내지 않고 쓸 줄도 알아야 하는 법.

 

비유하자면, 호랑이 같은 금수의 제왕이라 할지라도 때에 따라서는 토끼처럼 바짝 엎드리기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허를 내보이기도 하고, 약해 보이기도 해야 한다는 말이다. 이 같은 예로 삼국지의 유비는 자신의 약함을 드러내 보인 허허실실의 전략가. 전략상 농사꾼으로 위장해 조조의 눈을 피한 것은 쇼맨십 이상의 전략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런 ‘약한’ 방법을 쓰는 것은 역사상 종종 등장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결국 정치의 절반은 쇼맨십이 작용한다는 얘기. 사실 그건 예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아 보인다.

조선 초 우리의 위대한 성왕 세종도 이런 전략을 취한 적이 있는데, 그 이야기가 자못 미소를 금치 못하게 한다.

 

“임금이 말년에 내불당을 지었는데, 대신들이 궁궐 안에 불당을 짓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만류하였으나 듣지 않았고, 집현전 학사들이 간청해도 역시 듣지 않으므로, 학사들이 다들 물러 나와 집으로 돌아가니 집현전이 한 때 텅 비었다.

임금이 눈물을 지으며 황희를 불러 이르기를, ‘집현전 여러 선비들이 나를 버리고 가 버렸으니, 장차 이를 어찌하면 좋겠는가.’하였다. 이에 황희가 대답하기를,‘신이 가서 달래겠습니다.’하고는 곧 두루 모든 학사의 집을 찾아 돌아오기를 간청하였다.”

 

지금으로 보면, 국책 연구소의 연구진이 파업을 한 것인데, 세종이 이를 다루는 솜씨가 재밌다. 세종은 그 자신 학자였지만, 조선의 CEO로서 결코 문약(文弱)한 인물이 아니었다. 약해 보이기 때문에 강했고, 강함을 드러내지 않았기 때문에 진정으로 강한 CEO였다. 국가 CEO가 신하들 앞에서 힘을 과시하려 한다면 그거야 말로 패거리 집단의 보스와 뭐가 다르겠는가!

 

이런 일에 CEO가 굳이‘눈물’까지 흘려 가며 호소할 일이 있었을까? 여기에 바로 세종의 인간미 넘치는 유연한 경영술이 드러나는 것이다.

 

이 일화가 있은 건, 세종의 말년 무렵. 나이가 들면, 사람은 누구나 약해지기 마련이다. 생로병사의 허무함도 깨닫고, 지나온 삶과 주변도 아울러 보면서 과거를 회상하고 반성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엔 반드시 추모의 정이 따른다.

 

개인적으로도 불행한 경험을 간직한 세종은 말년에 불교를 가까이 했다. 이는 유교를 국가 경영 이데올로기로 삼은 조선의 지배계급에겐 실로‘불가(不可)하기 짝이 없는 일’이었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집현전 파업은 벌어졌던 것이다.

 

그런 파업에 대해 세종이 취한 방식은‘밀어붙이기’식이 아니라, 눈물의 호소였다. 그 당시 임금이 어디 힘이 없어서 이랬겠는가! 오히려 스스로 국왕의 저린 가슴을 드러내 보임으로써 세종은 신하들의 마음을 녹여 냈던 것이다. 파업에 대한 대응 논리나, 공권력 동원이야 얼마든지 가능했고, 하고자 한다면 여반장이었겠지만, 세종은 그런 방식을 취하지 않았다.

 

나이가 든다는 것은 세종에겐 지혜의 수(數)가 높아지는 것을 의미했다. 이는 자기 수양이 없으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자기의 자존심을 꺾은 작은 수고로 세종은 큰 저항마저 봄 눈 녹여 내듯 녹였던 것이다. 세종은 이런 식으로 슬기로운 쇼맨십을 부릴 줄도 알았다.

 

이 때의 파업 대응 방식을 보며 우리는 세종의 쇼맨십 이전에 그의 인간적인 성숙도를 보게 되니 지금 생각해 보아도 저절로 미소가 머금어 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그에 견주어 작금에 벌어지는 일련의 파업은 노정(勞政) 갈등으로 이어지며 과연 양자 다 성숙된 모습을 견지하는 것인지 묻게 만드니, 이는 집현전의 파업과 그에 대한 세종식 대응 방식을 역사에서 지켜보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말일까? ⓒ전경일, <창조의 CEO 세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