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 강의199 특강 안내: AI 시대,역사속 창조적 인재의 조건 세종 시대는 어떻게 경영했기에 농법에서 4,000% 이상의 생산성 향상이 가능했을까? 600년전 우리 역사에 나타난 AI 방식의 경영 혁신 사례를 살펴보는 강의입니다. AI 시대,역사속 창조적 인재의 조건을 살펴봅니다. 강의 문의: 인문경영연구소 02)533-3582 2025. 8. 13. 더 씨드: 목화씨 한 알에 숨겨진 혁신의 비밀 AI, 양자컴퓨팅 등 기술 혁신 시대, 이런 것이야 말로 '문익점의 목화씨' 같은 것 아닐까? 정말 좋은 강의라서 다시 소개하고자 합니다. 2025. 7. 14. 세종의 인재관리 전략과 교훈 세종, 인재에 대한 철학을 창조의 원천으로 삼다 영혼이 있는 정치를 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 세종시대의 정치적 담론은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그러기에 국가경영상의 목표를 이뤄내기 위해선 실천적 경영철학이 요구되고, 이를 실행할 창조적 정치 집단이 필요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은 세종시대의 인재관은 출발한다. 세종이 태어난 시기는 1397년 4월 10일(음력)이었다. 이 시기는 중국에서 명이 건국하고 28년이란 시간이 지난 시점이었다. 대륙의 패권을 놓고 벌인 원(元)ㆍ명(明) 왕조 교체는 세계제국 원을 통해 조성된 국제화 무드의 시기에서 한족 중심의 명으로 동북아 정세가 급변하는 시기였다. 세계의 경영 패권이 바뀐 시점에 조선에서도 새로운 창업이념인 국가 경영철학이 실질 국가경영에.. 2025. 5. 26. 지금, 우리는 세종의 국가경영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14세기 중엽, 동북아는 요동친다. 원(元)에서 명(明)으로 대륙의 패권이 넘어가며 97년간 유지되어 온 국제 질서에 엄중한 지각변동이 벌어진다. 그에 따라 고려도 지난 470년간 온존하여 온 내부 모순이 격화되며 새로운 국가 창신에의 요구가 거세어 진다. 백성의 실질 삶을 돌보지 아니하고 1백 년을 집권해 온 친원(親元) 세력은 위기 앞에 극도의 취약성을 보인다. 변방에서 힘을 축적해 온 군부 세력은 중앙 정부로 진출하고 정부는 이들을 완전히 통제하지 못한다. 북으로는 홍건적이 두 차례나 밀려오고, 남으로는 왜구의 노략질이 끊임없는 외환(外患)이 벌어진다. 게다가 대외적으로는 대원(對元) 무역에서 금, 은을 결제 수단으로 삼는 바람에 국고는 텅 비어 버린다. 이제 조선 창업은 필수이자, 필연적인 시대.. 2025. 5. 6. 이순신 맹세 "대장부 태어나서 쓰임을 받으면 목숨을 바쳐 충성할 것이요, 쓰임을 받지 않으면 밭을 갈아도 족하리라. 권세에 아부해 한때의 영화를 누리는 것은 나의 가장 부끄러워하는 바다." - 이순신 2025. 2. 21. 훈민정음 서문(영역)_by 전경일(제1 sentence)X Florian Columas(제2, 3 sentence) “The speech of our country, being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cannot be expressed with Chinese characters. Among the unlearned people, there have been many who, having something to put into words, have in the end been unable to express themselves. Feeling sorry for this, l have newly made twenty-eight letters only because l wish them to be easy for everyone to learn and convenient for use in .. 2025. 2. 21. 이전 1 2 3 4 ··· 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