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관리/세계적인 경영 구루들의 경영비법32

마이클 포터와 ‘경쟁우위, 경쟁전략’의 리더십 마이클 포터와 ‘경쟁우위, 경쟁전략’의 리더십 마이클 포터(Michael Eugene Porter)는 학계와 경영 실무자들로부터 두루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보기 드문 경영학․경제학 학자로 정평 나 있다. 1947년에 태어난 그는 1973년에 하버드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불과 26세의 나이에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정교수가 되면서, 천재적인 석학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하버드 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업 경영 전략과 국가 경쟁력 연구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그의 연구는 전 세계 유수의 정부 기관과 기업, 비영리단체, 그리고 학계에서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널리 인용되고 있다. 기업 경영 전략과 국가 경쟁력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마이클 포터는 경쟁이 없다면 전.. 2018. 12. 4.
피터 드러커와 경영 에센스 피터 드러커와 경영 에센스 20세기를 대표하는 경영사상가로 인식되고 있는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그는 경영학의 창시자로 추앙받고 있다. 특히 그의 저서 《경영의 실제》는 오늘날까지 인정받는 수많은 경영 방식의 토대를 마련한, ‘경영의 바이블’로 불리고 있을 정도다. 그의 저서가 대부분 미래에 대한 예측과 급변하는 환경 속의 경영 전략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피터 드러커는 미래경영학자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는 신문기고나 강연 등을 통해 언제나 인간의 심리와 리더십에 대해 언급해 왔다. 리더십에 관해 그가 세운 학문적 체계를 살펴보는 것은 여러모로 뜻 깊은 일이 될 것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 현대 경영학을 창안해 .. 2018. 11. 13.
허브 켈러허와 ‘펀, 펀, 펀! 즐거움과 웃음’의 리더십 허브 켈러허와 ‘펀, 펀, 펀! 즐거움과 웃음’의 리더십 허브 켈러허(Herbert D. Kelleher)는 1932년 뉴저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웨슬리언 대학 시절 학업과 스포츠에서 모두 두각을 드러낸 우등생이었다. 이후 뉴욕대로 옮긴 켈러허는 법학을 공부하고 1956년에 졸업한다. 로스쿨까지 졸업한 켈러허는 대법원에서 사무관으로 재직하다가 1960년부터 샌안토니오에서 6년간 변호사로 일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우연히 만난 고객과 당시까지 전혀 관심도 두지 않았던 분야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를 갖게 된다. 롤린 킹은 세인트 안토니스 클럽이라는 한 술집에서 자신의 부도난 사업을 정리하기 위해 켈러허를 만난 자리에서 자신의 사업계획을 설명했다. 그 사업은 텍사스의 주요 도시인 댈러스, 휴스턴, 샌.. 2018. 11. 2.
(4)이케아 창업자 잉바르 캄프라드의 리더십 미워할 수 없는 구두쇠 영감 캄프라드가 런던에 있는 브렌트 파크 매장을 방문하기 위해 영국에 갔을 때의 일이다. 그는 언제나처럼 이코노미 클래스 비행기를 이용했고 도착해서도 지하철로 런던을 돌아다녔다. 그 시각, 회장의 매장 방문을 위한 환영파티를 준비 중이던 브렌트 파크 매장에서는 캄프라드가 현재 어디에 있고 언제 도착할지를 아무도 알지 못해 하염없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한참의 시간이 흐른 뒤 결국 캄프라드는 버스를 타고 매장에 나타났다. 런던의 브렌트 파크 매장은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가기가 거의 불가능한 곳이다. 정류장에 내려서도 고속도로 교량들을 지나 한참을 걸어야 한다. 그런 매장에 세계 최고의 갑부가 버스를 타고 간 것이다. 버스는 그가 가장 애용하는 수단이었으며, 이제는 노인 무임승차 혜택.. 2018. 3. 22.
(3)이케아 창업자 잉바르 캄프라드의 리더십 DIY 혁명, 스스로 운반하고 스스로 조립하라 도입부에서 소개한 이케아의 직원 룬드그렌은 차 트렁크에 테이블을 집어넣기 위해 테이블 다리를 잘라내었다. 이것이 이케아의 또 다른 신화를 창조한 플랫팩 가구의 시초였다. 이 엄청난 발견은 공간 낭비를 최소화한 채 가구를 전 세계로 운송할 수 있음을 의미했고, 또한 가구 조립을 고객에게 맡김으로서 조립 비용을 없앨 수 있다는 것이기도 했다. 캄프라드는 이케아를 서비스 업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가구 판매에서 발생하는 작업량의 80퍼센트를 고객들이 스스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고객은 원하는 제품을 찾아보고 선택하여 선반에서 끄집어내 계산대로 옮긴 후, 돈을 지불하고 자동차에 실어서 집으로 가져간다. 집에 도착하면 포장을 풀고 조각들을 조립해서 하나의 가구로 만들어.. 2018. 3. 16.
(2)이케아 창업자 잉바르 캄프라드의 리더십 디자인의 경제학: 민주적 디자인이 라이프 사이클을 바꾼다 ‘디자인 민주화’를 이끌라 이케아는 디자인을 부자들의 전유물이 아닌 대중의 것으로 끌어내렸으며 좋은 디자인의 가치를 많은 사람들이 깨닫도록 도왔다. 즉 현대 디자인의 정의와 그 실제를 이해하기 쉬운 방식으로 알려준 것이다. 잉바르 캄프라드는 1976년에 쓴 책 《어느 가구상의 유언》에서 이렇게 말한다. “우리는 완전히 다수의 편에 서기로 결심했다. 고객에게 좋은 것은 결국 우리에게도 좋다.” 대중적인 것은 흔히 무시되기 쉽다. 하지만 캄프라드는 일반 대중을 타깃으로 삼았고 대중들은 그런 캄프라드의 비전에 열광했다. 일급 명품 디자인은 엄두를 못 내는 사람일지라도, 그런 사치스런 디자인의 아이디어는 취하면서 비용은 저렴한 버전을 구매하고 싶어 한다... 2018. 3.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