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03 게리 하멜 & C. K. 프라할라드와 ‘핵심역량’ 리더십 게리 하멜 & C. K. 프라할라드와 ‘핵심역량’ 리더십 게리 하멜(Gary P. Hamel)은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전략연구가이자 경영사상가이다. 특히 조직 혁신에 관한 한 그의 접근 방식은 학자나 실무경영자들에게서 크게 인정받고 있다. "진화(進化)의 시대는 가고 혁명(革命)의 시대가 도래했다"고 주장하는 세계적인 경영 석학 게리 하멜. 그는 20세기는 점진적인 경쟁 전략이 이끌어 갔지만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21세기에는 경쟁의 룰(rule)을 바꾸는 혁명적인 전략만이 의미가 있다고 주장한다. 조직은 사람 관리와 관련된 '관리 혁신(management innovation)'에서 온다는 경영 이론을 펴고 있다. 기업은 내부에 핵심 역량이 있을 때 경쟁 우위를 확보할 조건이 마련된다. 이 핵심 역량을 스스.. 2019. 1. 3. 톰 피터스와 ‘초우량 조건’의 리더십 톰 피터스와 ‘초우량 조건’의 리더십 톰 피터스(Thomas J. "Tom" Peters)는 경영을 밀폐된 회의실이나 연구실, 컨설턴트들로부터 전 세계 경영 현장 속으로 끌어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라 불리느 피터 드러커의 사상이 많은 저술과 연구 활동으로 확립된 것이라면, 톰 피터스는 그 본인이 컨설턴트이자 저술가, 세미나 강사 등으로서 자신의 사상과 열정, 스타일을 하나의 사상으로 결집시킨 것이다. 톰 피터스는 빠르게 변하는 정보화시대에 맞게 기업은 기존의 낡은 관념을 타파하고 열정과 혁신을 통해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라고 주문한다. 그는 고객의 꿈을 실현시켜 줄 새로운 인재경영을 강조하고 있다. 더불어 우리 시대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변했음을 경고하면서 이러한 변화와 .. 2018. 12. 19. 이탈리아의 험난한 환경을 뚫고 꽃피운 르네상스 이탈리아의 험난한 환경을 뚫고 꽃피운 르네상스 이탈리아 반도의 지형은 바다 끝까지 뻗은 거대한 아펜니노 산맥으로 인해 동서가 양분되어 있다. 그 지류에서 나온 높은 산들로 인해 평지는 전체 국토의 1/5에 불과하다. 이탈리아는 계곡과 평원으로 분리되어 있어 다른 지역을 왕래하는 일은 드물었고 걸핏하면 폭설이 내리는 겨울에는 거의 고립되다시피 했다. 게다가 지진도 잦은 편이어서 파괴된 도시와 인명 피해에 대한 기록이 많이 남아 있다. 이탈리아는 결코 축복받은 환경이 아니었다. 르네상스의 대명사로 알려진 피렌체도 예외는 아니었다. 도시를 가로지르는 아르노 강으로 인해 직물 산업이 번성했지만, 여름이 되면 바다로 물건을 실어 나르지 못할 정도로 말라붙는가 하면 어느새 억수 같은 비가 끔찍한 홍수를 가져오기도 .. 2018. 12. 12. 마이클 포터와 ‘경쟁우위, 경쟁전략’의 리더십 마이클 포터와 ‘경쟁우위, 경쟁전략’의 리더십 마이클 포터(Michael Eugene Porter)는 학계와 경영 실무자들로부터 두루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보기 드문 경영학․경제학 학자로 정평 나 있다. 1947년에 태어난 그는 1973년에 하버드대학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리고 불과 26세의 나이에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정교수가 되면서, 천재적인 석학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하버드 교수로 재직 중이며, 기업 경영 전략과 국가 경쟁력 연구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자로 인정받고 있다. 그의 연구는 전 세계 유수의 정부 기관과 기업, 비영리단체, 그리고 학계에서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널리 인용되고 있다. 기업 경영 전략과 국가 경쟁력 연구의 최고 권위자인 마이클 포터는 경쟁이 없다면 전.. 2018. 12. 4. 르네상스, 탁월한 브랜드 가치로 태동하다 르네상스, 탁월한 브랜드 가치로 태동하다 14~15세기 이탈리아에서 나타난 르네상스는 흔히 ‘문화와 예술의 황금시대’로 불린다. 미술, 건축, 철학, 사상 등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천재들이 저마다 솜씨를 뽐내며 자기 분야를 넘어서는 혁신을 이뤄냈고, 역사의 흐름을 바꾼 시대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혁신은 도미노처럼 사회 곳곳에서 연쇄 작용을 일으켰는데, 그 중심엔 뛰어난 창조적 혁신가들이 있다. 이 같은 인재들이 한꺼번에 출현한 것은 역사상 유례가 드문 일이었다. 당시 이탈리아 도시국가에는 뛰어난 인재들을 끌어들이는 요인이 몇 가지 있었다. 먼저, 인재에 대한 도시국가의 갈망이었다. 각 도시의 귀족과 토후들은 뛰어난 예술가들을 식구로 데려가려고 온갖 노력을 다했다. 그들은 이 대가들이 지식과 기술을 맘껏 .. 2018. 11. 20. 피터 드러커와 경영 에센스 피터 드러커와 경영 에센스 20세기를 대표하는 경영사상가로 인식되고 있는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그는 경영학의 창시자로 추앙받고 있다. 특히 그의 저서 《경영의 실제》는 오늘날까지 인정받는 수많은 경영 방식의 토대를 마련한, ‘경영의 바이블’로 불리고 있을 정도다. 그의 저서가 대부분 미래에 대한 예측과 급변하는 환경 속의 경영 전략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피터 드러커는 미래경영학자로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그는 신문기고나 강연 등을 통해 언제나 인간의 심리와 리더십에 대해 언급해 왔다. 리더십에 관해 그가 세운 학문적 체계를 살펴보는 것은 여러모로 뜻 깊은 일이 될 것이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미래를 창조하는 것이다." 현대 경영학을 창안해 .. 2018. 11. 13.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