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24 [창조의 CEO 세종] 점진적으로 물들여 가라 때로 세종은 원칙을 뛰어 넘는 방법론을 추구하기도 했다. 그리하여 그는 기자의 사당에 비석을 세우고 고려왕들 중에서 백성에게 공헌한 다섯 왕을 선정하여 왕씨 후손들로 하여금 매년 제사를 올리게 했다. 또한 삼국의 시조묘(始祖墓)에 대한 국가적인 치저(致祭)를 하도록 조처했다. 그리고 전임 CEO인 태종이 사관(史官)들의 입시(入試) - 오늘날 공무원 채용시험 - 을 허용하지 않던 관례를 깨고 경연에의 입시를 허용하고, 사관들이 역사기록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집현전 학사들로 하여금 기록을 남기게 하기도 했다. 세종은 이처럼 원칙과 방법 모두에서 운용의 묘를 제대로 살릴 줄 아는 CEO였다. [제도는 그 적합성을 테스트해 보아야 한다] 세종은 원칙은 지키되, 그 운영의 묘를 살릴 줄 아는 융통성 있는 CEO..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원칙과 방법 모두를 찾아라 세종의 성공적인 국가경영은 전체적인 균형에서 나왔다. 이러한 균형은 원칙과 방법 모두를 훼손하지 않고, 오히려 양쪽 모두를 세우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경학(經學) - 이는 곧, 국가경영의 철학적ㆍ사상적 기반을 말한다. - 을 중시하면서도, 한편으로 역사를 중시하는 경사체용(經史體用)을 수용한 것도 세종의 균형 잡인 경영 일면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여기서 말하는 경사체용이라 함은 ‘경(經)은 체(體)이고 사(史)는 용(用)이다.’하여 경전과 역사가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을 표현하는 말로 역사를 통하여 국가경영의 실질적 교훈을 찾는 실용주의적 유교 철학을 말한다. 세종의 이같은 원칙과 방법 찾기는 실제 「훈민정음」 창제와 인쇄술 개발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전통적인 유교적 경영 방식에 의하면, “백성은 부리..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자신을 깨닫는 신념을 가져라. 그것은 모든 신념 위에 있어야 한다 원칙 실천과 함께 진정한 공유를 위해서는 두뇌 집단 내부로부터의 참여 정신이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참여 체제 안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외부자(out sider)’가 아닌, ‘내부자(insider)’ - 싱크 탱크 요원들은 이너서클(inner circle)의 멤버들이었다! - 가 되어야 했다. 소외는 결코 참여를 가져오지 못한다. 따라서 세종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것들이 필수적 요소라고 생각했다. [내부로부터의 참여를 강화하라] * 누구나 자신이 필요한 존재임을 느끼게 한다. 그것은 자신에 대한 새로운 각성이며, 자기 능력을 무한대로 끌어 올릴 수 있는 비결이다. *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케 한다. 그럴 때에야 만이 요원들은 프로젝트의 의의를 깨달을 것이다. 최만리가 한글창제를 반대한 ..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위임할 줄 알라 리더는 반드시 삶의 언저리와 죽음의 언저리를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만일 리더 스스로 아이디어와 희망 그리고 기회를 보는 시각을 잊어버리거나, 팀원들이 조직 내 ‘필요한 존재’가 되는 권리를 박탈한다면, 그것은 죽음의 언저리로 치닫는 길이다. 리더가 된다는 것은 무엇보다도 자신에게 지도의 권한을 부여하는 사람들의 삶에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 다 주는 것을 말한다. 이 말은 맥스 드프리가『리더십은 예술이다』에서 한 말이다. 삶을 통해, 어떤 사회적 관계를 통해, 남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그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면, 그것은 무엇보다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것이 바로 인간 존중의 모습이고, 리더들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덕목인 것이다. 세종은 리더십 발휘에서 매우 뛰어났다. 세종 리더십의 ..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경영자의 가장 큰 미덕은 배우는 것이다 세종은 배우는 경영자였다. 삶이 배우는 과정에서 시작해서 배우는 과정에서 끝나는 것이라는 인식을 그는 철저히 했다. 세종의 학구열은 그에게 부여된 국가 경영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독보적인 경영 철학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었다. 그러한 연구와 학습을 통해 세종이 추진한 각종 사업들은 최적(最適)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배움에 임해 그는 “무엇보다도 독서하는 것이 제일 유익하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그의 배움의 자세는 자신은 물론 신하들이 지켜야 할 원칙으로 자리 잡았다. 그는 신하들에게 어떤 일을 시키거나, 어떤 기분이 들게 하려면, 스스로 그러해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지속적으로 공부하고 연구하며, 현장을 점검한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다. [항상 배우라. 항시 손을 놓고 있지 말아라] 세종..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변화의 결과를 분명히 하라 CEO 세종은 변화를 올바로 관리했다. 그에겐 변화를 통제하는 내적인 힘, 즉 경영의 ‘내력(內力)’이 있었다. 주변의 변화에 휘둘림을 받기보다는 대나무처럼 꼿꼿하게 원칙을 지키되, 휠 때는 과감하게 휠 줄도 알았다. 그러한 유연성은 변화를 수용하고 주도하는 세종 리더십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변화를 받아들이되, ‘변화’보다 오히려 더 강한 추진력과 속도로 그는 변화 앞에 가 있었다. 그는 항시 이런 방식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했다. 연이은 프로젝트들과 국가 경영상의 주요 과제들은 바로 이것을 충분히 입증해 주고도 남는다. 고려라는 구시대의 중력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라도 세종은 신생 조선의 에너지의 대부분을 여기에 쏟아 부어야 했다. 이것이야말로 세계의 조류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이를 리드해 나가는.. 2009. 2. 3. 이전 1 ··· 154 155 156 157 158 159 160 ··· 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