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경영/르네상스 경영학28

목표를 향해 전진하는 팀워크의 기술 실적은 자신의 모든 것을 혼자 발휘한다고 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실적은 대규모 인원으로 이루어진 조직에서 자신의 직무 상황에 맞는 각 자리의 구성원들이 그 위치에 맞게 자신의 강점을 발휘하는 데서 시작된다. 리더는 팀의 협력자이다. 중요한 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한 사람 혹은 그 이상의 사람들과 같이 일하는 것이다. 이런 팀워크의 힘은 수많은 장인들이 일했던 피렌체 공방에서도 읽혀지고, 오늘날 가장 혁신적인 조직에서도 찾아진다. 이들이 지닌 공통적인 요소는 무엇일까? 3R: 지배적인 원리모든 위대한 팀은 탄탄한 기반에서 비롯된다. 여기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를 더글러스 밀러(Douglas Miller)는 3R, 즉 Rule(룰), Rights(권리), Respect(존경심)으로 본다. 이 3가지.. 2025. 6. 23.
기능이 아닌 업무별로 조직을 구축하라 우리는 직관적으로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고 상황에 가장 잘 맞는 방식으로 업무를 나눈다. 자영업자도 업무와 프로젝트, 고객에 맞춰 스스로를 조직한다. 그러나 직원 수가 늘어나고 기업이 더 크게 성장하면 우리는 어느 순간 조직도를 만든다. 일의 절차를 여러 갈래로 나눈 뒤 성격에 따라 각 담당자에게 할당한다. 그러면서 갑자기 기능적으로 사고한다. 기업의 기능들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한다결국 위계질서를 위해 업무 분장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정해진 일은 조금도 즐겁지 않다. 관료주의적 위계질서 아래서 일하는 사람은 중요한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기능에 초점을 맞춘 분업에 의해 일의 목표, 목적, 의미가 왜곡된다. 이렇게 제도화된 기능들이 전체를 통제하기 때문에 이런 .. 2025. 6. 17.
탁월한 리더를 만드는 이너서클의 힘 르네상스 시대에 만들어진 작품의 대부분은 단일 예술가의 작품이라기보다는 공동작업의 산물이다. 화판이나 액자를 만드는 목수들, 정교한 금장식을 만들어 붙이던 금세공인 외에도 그림 그리는 행위 자체가 협력의 산물이었다. 위대한 작품 뒤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협업과 노력이 숨어 있다. 성공한 사람을 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개인이 뛰어난 재능을 지니고 있어서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사실은 어느 누구도 혼자서 위대한 일을 해낼 수는 없다. 리더도 마찬가지다. 혼자서는 성공할 수 없다. 리더의 잠재력은 최측근에서 그와 함께하며 돕는 사람들, 즉 이너서클(Inner Circle)에 의해서 결정된다. 유난히 일이 많은 이탈리아 공방들은 견습 수준의 도제들에게 의지하지 않고, 각자 완전한 능력을 갖춘 조수들을 고.. 2025. 6. 9.
역경 속에 조직을 지탱하는 놀라운 비전의 힘 어둑한 새벽, 허름한 옷차림으로 거리를 활보하며 분주히 폐지를 줍는 젊은 여인이 있었다. 그녀는 속으로 생각했다. ‘나는 지금 폐지를 줍는 것이 아니라, 숲을 만들어가는 중이다!’ 그녀의 그런 당찬 꿈은 척박한 환경도 초월하며 그녀의 열정에 불을 지폈다. 일명 ‘폐지 여왕’이라고 불리는 중국 주룽제지(玖龍造紙) 장인(張茵) 회장의 이야기다. 1995년 장인 회장이 설립한 주룽제지는 버려진 폐지를 모아 재가공하여 각종 포장지를 만드는 중국 최대의 제지회사로, 2011년 전문지 펄프&페이퍼인터내셔널>이 발표한 세계 100대 제지업체 중 31위를 차지했다. 2010년 포브스>의 발표에 따르면 10억 달러 이상의 자산가는 전 세계에 1,210명으로, 이중 여성 부호 대부분은 아버지의 유산이나 남편의 재산 덕에 .. 2025. 5. 30.
비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의사소통의 대원칙 존 코터> 기업이 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직원들에게 이해시키고 그들의 헌신적 봉사를 얻어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유명 회사들조차도 비전을 서투르게 전파해 실패를 맛본다. 경영혁신은 진척되지 못한 채 그 자리에서 흐지부지되고 만다. 비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모으고, 이를 소화하고, 다른 대안을 생각해보고, 마지막 결정을 내리기까지는 수백 시간이 걸리는 게 보통이다. 그러나 수개월 간 이렇게 열심히 작업해온 경영진이 새로운 비전을 알기 쉽게 정리하는 마지막 순간에 대개 큰 어려움을 겪는다. 변화관리자 존 코터는 경영혁신에 성공하기 위해 다음 일곱 가지 원칙을 반드시 지킬 것을 주장하고 있다. 1) 쉬운 용어를 사용하라비전을 효과적으로 전파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정력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 2025. 5. 20.
어려운 도전을 생명처럼 여긴 조직의 성공 신화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최후의 만찬>을 작업하는 동안 눅눅한 작업 현장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난로에 불을 피웠다. 또 그는 실험적으로 역청과 회반죽으로 애벌칠을 한 후에 템페라 화법을 구사하기도 했다. 그러나 난로도 애벌칠도 습기를 제거하는 데 아무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최후의 만찬>은 완성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표면이 얼룩덜룩해졌다. 레오나르도는 그것이 전적으로 자신의 실수였음을 알고 있었다. 무엇보다 벽면에 석회를 바르고 그것이 마르기 전에 수용성 안료를 칠하는 안전한 프레스코 화법 대신 안료에 달걀 노른자를 섞어 마른 벽면에 칠하는 템페라 화법을 선택한 것이 결정적인 잘못이었다. 오늘날 심각하게 변형된 그의 벽화를 보며, 우리는 거장도 실수를 통해 배우고 성장한다는 사실에서 위안을 얻을 .. 2025.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