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문경영/이끌림의 인문학41

상호 연결할 때 조심해야 할 것들 인류의 오랜 소통 역사상 1858년은 매우 중요한 해를 장식한다. 뉴펀들랜드와 아일랜드 사이에 최초의 대서양횡단 해저케이블이 부설된 것이다. 바다 밑 3200킬로미터에 깔린 이 케이블로 인류는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상호 연결에의 시대를 맞이한다. 그 전의 통신수단은 선박에 의한 우편물 전달이 고작이었다. 이 같은 방식은 항해의 위험 및 기상 조건에 따라 수주일 씩 지연되곤 했다. 그런데 무한한 과학의 진보로 분리되어 있던 두 세계가 마침내 전신(電信) 기술로 만나게 된 것이다. 해저 케이블이 처음 부설되었을 때, 두 대륙에 사는 사람들은 경이로움에 압도되어 입을 다물 줄 몰랐다. 얼마나 흥분이 대단했는지 양쪽 사람들은 곧 서로의 손을 맞잡은 듯 심리적으로도 가까워졌다. 이를 반영하듯 첫 발신 메.. 2025. 7. 3.
자신과 세상을 변혁시킨 책 떨이와 책 쓰기 흔히 독서를 하면 상상력이 높아진다고 한다. 당연히 일리 있는 얘기다. 하지만 독서가 주는 진정한 힘은 그보다는 다른 데 있는 것 같다. 반추와 각성을 통해 통찰의 힘을 얻게 한다. 나는 이걸 가리켜 ‘반각통(反覺通) 추성찰(芻醒察)’의 세계라고 부른다. 기존의 사고․관념에 반(反)하여 깨달음을 얻고, 이치를 되짚어 봄으로써 어리석음을 깨뜨려, 자신과 세상의 진면목을 살피게 한다. 맹자가 말한 ‘깊이 파고들어 스스로 터득하는 경지(深造自得之境)’가 바로 이것이다. 선인들이 책을 많이 읽거나[多讀], 많이 생각하거나[多商量], 많이 쓰는[多作] 이른바 삼다(三多)를 최고의 학문 정진 방안으로 제시한 것은 폭넓은 인식관․세계관을 심어주기 위해서였다. 물론 이 세 개는 서로 통하며 한 묶음이 된다. 중국 남송.. 2025. 6. 30.
신뢰와 소통을 부르는 마음 경영: 직원의 마음을 움직여라! 경영이란 사람의 마음에 호소하는 것이다. 고객의 마음이 움직이면 기업의 경영활동은 자연스럽게 좋아지고 회사는 활기에 넘친다. 그리고 고객의 마음이 움직이려면 먼저 직원들의 마음이 움직여야 한다. 마지못해 고객을 대하는 것이 아닌,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따뜻한 말 한마디와 미소가 고객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다. 최근 각광받는 ‘펀(fun)경영’, ‘감동 경영’ 등도 모두 직원과 고객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마음 경영은 인정과 사랑을 받고 싶어 하는 본능적 욕망을 채워 줌으로써 정서적 교감을 이뤄낸다는 점에서 인재 관리의 중요한 키워드가 될 수 있다. 특히 조직이 가진 목표와 비전을 구성원들에게 전달하고 체화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누구나.. 2025. 6. 27.
철학을 전공하지 않아도, 철학적인 삶을 살 수 있다 “고요했던 과거의 진리는 폭풍우가 휘몰아치는 현재에는 맞지 않습니다. 기회는 온갖 고난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우리는 그 기회를 이용해 일어서야 합니다. 지금 우리는 새로운 일들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새롭게 생각하고 새롭게 행동해야 합니다.” 미국 남북전쟁의 아버지 에이브러햄 링컨은 1862년 12월 어느 날, 의회의 단상에 올라 목청을 높인다. 그가 한 연설은 신생 미국이 대립과 갈등을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여는 단초가 되었다. 남북의 사상적 차이, 경제적 불균형을 뛰어넘어 훗날 그들이 비전화 한 ‘위대한 미국’을 여는 계기가 된다. 그만큼 그의 연설은 거대한 바위덩이가 모루를 내려치듯 육중하게 느껴졌다. 링컨을 기리는 워싱턴 포토맥 강가의 기념관에는 오늘도 그의 석상이 육중하게 들어서서 미국인들의.. 2025. 5. 28.
세계를 읽는 4장의 별난 지도 1960년, 미국 상원 위원회는 의회보고서에 4장의 지도를 첨부해 제출한 적 있다. 이 지도를 펼치면, 여행시간을 기준으로 1840년대 범선시대로부터 1960년대 제트기 시대에 이르기까지 120년간 세계의 상대적 크기가 드러난다. 첫 번째 지도가 사람의 손바닥만 하다면, 마지막 지도는 압정 대가리보다도 작다. 그로부터 50여년이 훌쩍 지난 지금 세계는 바늘 끝보다도 작다. 작아진 세계를 말할 때 흔히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른 거리의 협소화(狹小化) 현상을 주원인으로 든다. 하지만 보다 본질적 요인으론 국가 간 정책의 공조화 현상을 들 수 있다. 이는 자본이 움직이고 통제할 수 있는 거리이자, 국경이며, 자본의 논리가 만들어 낸 세계이기도 하다. 오늘날까지 국제정세를 좌우하는 대부분 국가들은 두 가지 공.. 2023. 6. 9.
이탈리아 카레지 별장과 조선 송석원의 차이점 역사상 ‘암흑시대’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들은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인이었다. 그들은 로마가 만족(蠻族)의 침략을 받은 시대를 조잡한 장막에 가려진 시대라고 했고, 그것이 이어진 과거 10세기를 잠자고 있던 시대라고 명명했다. 이전 시대가 이렇게 단정 내려진 데에는 앞으로 열어가야 할 시대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되어 있다. 전(前)시대를 평가 절하해 버렸으니 그 보다 나은 시대를 만들어야 할 책임도 뒤따랐다. 일단 장막을 걷어 올리고 르네상스 인들은 위대한 로마의 문학, 유적 및 그 밖의 갖가지 가치 있는 것들에 새 생명을 불어 넣기 시작했다. 역사 창조의 웅장한 작업이 하루가 다르게 벌어진 것이다. 이런 대역사는 그들의 기쁨이자 기필코 수행해야 할 의무이기도 했다. 또한 학문의 모든 분야에 영향을.. 2023.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