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03

코로나 시대, 국경 없는 질병과 오이쿠메네를 생각하며 20세기 문명은 인류 역사상 유례가 없을 만큼 국경을 초월한 '오이쿠메네(oikoumene; ‘인간세상 전체’를 통칭하는 그리스어)'를 만들어 냈다. 이 유산은 고스란히 21세기로 넘어오면서 기술발전과 인류의 생활방식에 변화를 가속화 했다. 이 쌍두마차야말로 본질적으로 세계화의 양대 축이었다. 자유로운 왕래와 교역이 불러온 환경에서 번영하고 약진하는 인류의 한 차원을 그간 우리는 마음껏 구가해 왔다. 이 활력은 일찍이 어떤 인간이 누린 경험치보다도 빨랐고, 멀리 나갔다. 시간과 거리상 유래 없는 혁신이 벌어진 것이다. 이 멋진 신세계가 선사하는 풍요로움에 매료된 인류는 이 좁혀진 환경을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부의 증대 기회로 삼으며 21세기의 첫 20년을 보냈다. 그러나 좁혀진 세계에 함께 초대된 뜻밖의.. 2020. 4. 3.
전함 디어로지호와 코로나 사태에서 배우는 짧지만 강한 교훈 1943년 전함 디어로지호(號)가 독일 잠수함의 어뢰를 맞았다. 파도는 거칠고 바람은 거세게 불어오는 가운데 선원들은 부상을 입은 채 사해에서 가라앉을 듯 위태로운 작은 고무보트에 타고 있었다. 짧은 토론을 거친 끝에 그들은 이렇게 행동했다. “힘센 사람들이 배에 남아 물을 퍼내는 동안 다른 사람들은 교대로 뱃전에 매달리자!” 이런 협력의 결과 어떻게 됐을까? 결국 모든 선원들이 구조됐다. 처음에 선원들은 “전체가 죽지 않으려면 누군가가 희생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들은 인간이 짜낼 수 있는 모든 슬기와 모험을 통해 정반대의 판단을 내렸다. “아무도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는 대원칙을 굳건히 지킨 것이다. 희생보다 전원구조를 먼저 생각한 이 발상은 놀라운 결과를 빚어낸다. 모두가 구조된 것이다. .. 2020. 3. 24.
코로나 사태가 불러온 한국 사회 ‘위험 표면화의 법칙’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한국 사회 시스템 및 우리의 일상생활 등 모든 분야가 엄청난 영향을 받고 있다. 각종 질병, 재해, 사고 등은 왜 사전 예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일까?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의 지적처럼 현대사회는 ‘위험 사회’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것인가? 과거에는 이 같은 역병이 돌지 않았는가? 에만도 ‘역병(疫病)’에 대한 기록은 728건에 달한다. ‘전염병’으로 검색해도 무려 1,052건이 나올 정도다. 년평균 각각 1.37회, 2회 정도 발생했다는 얘기다. 시대와 불문해 역병이 발생함으로 불구하고 오늘날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현대 의학, 경보 체계 등 예방 가능한 상당한 수단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진화를 놓치고 확산된다는 점이다. 무엇이.. 2020. 3. 11.
목화씨 한 알 2020. 2. 18.
초우량 기업에서 경영의 기본을 배워라 1970년대 후반, 미국 기업은 일본 기업과의 경쟁에서 크게 밀리고 있었다. 이 때문에 일본 기업의 경영 기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이 연구들 중 미국의 경영자들에게 실제 도움이 될 만한 것은 별로 없었다. 미국과 일본은 기본적인 가치관이나 사고방식ㆍ행동 양식 등이 너무나도 다르기 때문에 실제 경영에 도입하는 일이 쉽지 않았던 것이다. 그런 가운데 톰 피터스와 로버트 워터맨은 미국의 75개 대기업을 조사하여, ‘초우량 기업(Excellent Companies)’이 공통적으로 가진 8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 같은 원리는 조직에 ‘탁월함(Excellence)’을 부여하려는 모든 리더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민첩한 행동력을 가져라 초우량 기업이 의사결정을 할 때는 다른 기업들처럼 분.. 2020. 2. 17.
쿠바, 한 개의 심장을 그곳에 두고 왔다(헤밍웨이·체 게바라와 함께 한 여행) 카리브해의 심장, 쿠바에서 나를 만나다 브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의 전설이 남아 있는 쿠바, 이곳에 오면 누구라도 가슴에 비트를 담고 영혼에서 키워낸 음악을, 심장을 통해 토해내고 싶어진다. 누구라 할 것 없이 생 자체가 음악처럼 흐르는 것임을 알게 한다. 쿠바에 가면 심장이 달아오른다. 자연스레 몸이 움직여지고, 열정은 터질 듯 분출한다. 공중전화 박스에서 동전 떨어지는 소리가 들려도 몸을 흔드는 사람들. 골목 어디를 가나 음악 소리를 들을 수 있고, 막일하는 청소부도 저녁이면 국립극장에서 발레를 감상하는 게 일상인 나라. 길거리 어디를 가나 예술가들의 수준 높은 벽 그림을 볼 수 있는 나라. 이곳이 바로 카리브해의 열정의 섬나라, 쿠바다. 헤밍웨이와 체 게바라의 열정을 찾아 누구라도 그 섬에 닻을 내려.. 2020.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