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52

돌에서 꽃이 필 때 해야 할 것들 매일 굳은 것들을 만난다. 어제 먹다 남긴 프라이팬에 더께진 굳은 기름, 지난해 여름 사다 쓰고 남은 굳어버린 수성 페인트, 마개를 잘 닫아 놓지 않아 말라버린 푸른 잉크병 속의 물감, 아침이면 수염을 깎다가 거울에서 발견하게 되는 굳은 중년의 얼굴, 버스를 타거나 지하철에 올랐을 때 일상적으로 만나게 되는 나를 빼닮은 굳어버린 표정의 남자들 안색, 굳은 어깨, 굳은 손, 굳은 대화, 굳은 꿈, 굳은 희망……. 나는 돌이었다. 한때 뜨거운 열정으로 불타오르던 젊음을 지나, 결혼하고, 애들을 낳아 키우며 가장으로서, 사회인으로서, 직장인으로서 인생의 쓴맛을 어느 만큼 알게 된 중년 나이에 호우에 쓸린 벼포기 같은 나. 매일 매일 찾아오는 일상에 한 번도 “왜?”라고 제대로 의문을 제기하지 않은 채 굴러오기.. 2020. 6. 24.
30년 묵은 기억 코로나 이후 생활상의 문제에 대응하기에도 버거워 다른 것은 돌볼 여지도 없는 내게 요 며칠은 불현 듯 나의 기억을 30여 년 전으로 되돌려 이끌어 간다.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인 1992년, 나는 어찌어찌하여 종로 조계사 내에 있는 에 기자로 잠시 있게 되었다. 내 나이 스물여덟이었을 것이다. 신입기자인 내가 하는 일이란 선배들이 시키는 일을 수행하고, 기사랄 것도 없는 작문을 하는 정도의 수준에 불과한 일을 하였다. 일도 배우고, 불교에 대해 배우는 견습 시기였다고 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어느 날, 내게 어떤 취재거리가 하나 떨어졌다. 송월주 스님 밑의 한 스님께서 지금 일제시대에 정신대로 끌려갔던 할머니들을 수소문 해 모아 보살피는 일을 하시려는데 그걸 취재해 보라는 것이었다. 당시만해.. 2020. 5. 29.
1821년과 2020년에 번진 글로벌 펜데믹은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주는가? 1821년(순조 21년) 8월 13일 평안 감사 김이교가 급히 장계를 띄워 조정에 보고해 왔다. “평양부(平壤府)의 성 안팎에 지난달 그믐 사이에 갑자기 괴질(怪疾)이 유행하여 토사(吐瀉: 토함과 설사)와 관격(關格: 급체로 가슴이 막히고 계속 토하며 대소변이 통하지 않는 위급증상)을 앓아 잠깐 사이에 사망한 사람이 10일 동안에 자그마치 1천여 명이나 되었습니다. 의약도 소용없고 구제할 방법도 없으니, 목전의 광경이 매우 참담합니다. 항간(巷間)의 물정(物情)이 기도를 하였으면 하는데 기도도 일리가 없지 않으니, 민심을 위로함이 마땅할 것입니다. 비록 지금 크고 작은 제사를 모두 중지하고 있습니다만, 이것은 제사와는 다르기 때문에 먼저 본부 서윤 김병문(金炳文)으로 하여금 성내(城內)의 주산(主山)에 .. 2020. 4. 10.
코로나 시대, 국경 없는 질병과 오이쿠메네를 생각하며 20세기 문명은 인류 역사상 유례가 없을 만큼 국경을 초월한 '오이쿠메네(oikoumene; ‘인간세상 전체’를 통칭하는 그리스어)'를 만들어 냈다. 이 유산은 고스란히 21세기로 넘어오면서 기술발전과 인류의 생활방식에 변화를 가속화 했다. 이 쌍두마차야말로 본질적으로 세계화의 양대 축이었다. 자유로운 왕래와 교역이 불러온 환경에서 번영하고 약진하는 인류의 한 차원을 그간 우리는 마음껏 구가해 왔다. 이 활력은 일찍이 어떤 인간이 누린 경험치보다도 빨랐고, 멀리 나갔다. 시간과 거리상 유래 없는 혁신이 벌어진 것이다. 이 멋진 신세계가 선사하는 풍요로움에 매료된 인류는 이 좁혀진 환경을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부의 증대 기회로 삼으며 21세기의 첫 20년을 보냈다. 그러나 좁혀진 세계에 함께 초대된 뜻밖의.. 2020. 4. 3.
전함 디어로지호와 코로나 사태에서 배우는 짧지만 강한 교훈 1943년 전함 디어로지호(號)가 독일 잠수함의 어뢰를 맞았다. 파도는 거칠고 바람은 거세게 불어오는 가운데 선원들은 부상을 입은 채 사해에서 가라앉을 듯 위태로운 작은 고무보트에 타고 있었다. 짧은 토론을 거친 끝에 그들은 이렇게 행동했다. “힘센 사람들이 배에 남아 물을 퍼내는 동안 다른 사람들은 교대로 뱃전에 매달리자!” 이런 협력의 결과 어떻게 됐을까? 결국 모든 선원들이 구조됐다. 처음에 선원들은 “전체가 죽지 않으려면 누군가가 희생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들은 인간이 짜낼 수 있는 모든 슬기와 모험을 통해 정반대의 판단을 내렸다. “아무도 희생되어서는 안 된다”는 대원칙을 굳건히 지킨 것이다. 희생보다 전원구조를 먼저 생각한 이 발상은 놀라운 결과를 빚어낸다. 모두가 구조된 것이다. .. 2020. 3. 24.
코로나 사태가 불러온 한국 사회 ‘위험 표면화의 법칙’ 코로나 바이러스 여파로 한국 사회 시스템 및 우리의 일상생활 등 모든 분야가 엄청난 영향을 받고 있다. 각종 질병, 재해, 사고 등은 왜 사전 예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일까? 사회학자 울리히 벡(Ulrich Beck)의 지적처럼 현대사회는 ‘위험 사회’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하는 것인가? 과거에는 이 같은 역병이 돌지 않았는가? 에만도 ‘역병(疫病)’에 대한 기록은 728건에 달한다. ‘전염병’으로 검색해도 무려 1,052건이 나올 정도다. 년평균 각각 1.37회, 2회 정도 발생했다는 얘기다. 시대와 불문해 역병이 발생함으로 불구하고 오늘날 크게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현대 의학, 경보 체계 등 예방 가능한 상당한 수단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진화를 놓치고 확산된다는 점이다. 무엇이.. 2020.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