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 강의/세종 | 창조의 CEO132 장영실, 조선의 과학을 만들다 잃어버린 성장 동력, 해법은 우리 내부에 있다 역사에서 찾은 창조혁신 성장 정체기에 직면한 글로벌 경제의 화두는 ‘신성장 동력’ 찾기다. 이에 우리 역사가 얼마든지 경영자산이 될 수 있다며, 우리 역사를 조명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특히 과학기술에 집중했던 조선의 세종시대가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국립 고궁박물관에 전시된 자격루는 600여 년이 지난 2007년에 복원돼 세종대왕과 장영실의 첨단 정신을 보여주고 있다. / 중앙포토 오천년의 우리 역사 자산은 얼마든지 우리 경영자산으로 바뀔 수 있다. 대표적인 예가 세종시대다. 광휘의 불꽃으로 타오른 600여 년 전 세종대왕 시대를 주목하는 건 위대한 벤치마크 사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시대, 어떤 점이 오늘날의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될 수.. 2016. 1. 21. 세종의 창조적 역량 ⓒ인문경영연구소, 전경일 소장 2015. 8. 24. 태조 이성계, 혁명에서 창업으로 가는 기나긴 세월을 인고하다 혁명에서 창업으로 인생의 기회는 좀처럼 오지 않는다. 하물며 역사의 순간에 다가오는 기회란 더 말할 나위 있으랴. 변방의 무관 시절부터 스스로 이룩한 실력을 바탕으로 마침내 중앙 정계의 실력자가 되기까지 이성계의 인생은 전투가 벌어지는 현장이 결정지었다. 구체적 실적을 증명해 냄으로써 군내에서 지위는 급부상하고, 이를 계기로 요동 정벌을 통수하는 권한이 주어졌다면 이는 호랑이 등에 올라 탄 욱일승천의 기세와 같은 것이다. 이제 운명은 그의 선택 여하에 달려있었다. 뽑은 칼을 어디로 휘두르느냐에 따라 정벌군 대장으로서 영예를 한껏 드높일지, 하늘 아래 최고지선의 자리를 넘볼지 결정나는 판이 벌어진 것이다. 조선의 창업자 이성계, 그의 입지전적 창업 과정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이성계는 1335년 화령부(함경.. 2015. 5. 28. 세종, 인재에 대한 철학을 창조의 원천으로 삼다 세종, 인재에 대한 철학을 창조의 원천으로 삼다 영혼이 있는 정치를 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까? 세종시대의 정치적 담론은 여기서부터 출발한다. 그러기에 국가경영상의 목표를 이뤄내기 위해선 실천적 경영철학이 요구되고, 이를 실행할 창조적 정치 집단이 필요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조선의 르네상스를 열은 세종시대의 인재관은 출발한다. 세종이 태어난 시기는 1397년 4월 10일(음력)이었다. 이 시기는 중국에서 명이 건국하고 28년이란 시간이 지난 시점이었다. 대륙의 패권을 놓고 벌인 원(元)ㆍ명(明) 왕조 교체는 세계제국 원을 통해 조성된 국제화 무드의 시기에서 한족 중심의 명으로 동북아 정세가 급변하는 시기였다. 세계의 경영 패권이 바뀐 시점에 조선에서도 새로운 창업이념인 국가 경영철학이 실질 국가경영에.. 2012. 10. 9. 오래된 새로움, 창조의 CEO 세종을 만나다 <下> 세종은 시간 측정에 각별한 관심 교보문고 독서경영대학 창조학기 1~4강 [23호] 2011년 01월 01일 (토) 여주=곽진영 기자 foodcoop@gamsa.or,k 교보문고 독서경영연구소(송영숙 소장)가 주관하는 독서경영대학 창조학기가 지난 12월 16일(목)에 고은 시인의 강연(9강)을 끝으로 마무리되었다. 기자는 본지 21호(11월 30일자 9면, 헌인릉 일원)에 이어 전경일 인문경영연구소 소장이 안내를 맡은 여주 영릉 답사기와 여주박물관에서 진행된 강연 내용을 소개한다. 이천의 쌀밥집에서 점심식사를 마친 일행들은 곧바로 여주읍 능서면 왕대리에 있는 영릉을 찾았다. 영릉(英陵)은 세종대왕(이후 ‘대왕’)과 소헌왕후를 합장한 능이다. 대왕은 조선조 제4대 왕으로 1418년에 승하하니 재위 32년에 .. 2011. 1. 19. 오래된 새로움, 창조의 CEO 세종을 만나다 <上> 오래된 새로움, 창조의 CEO 세종을 만나다 교보문고 독서경영대학 강의노트 [21호] 2010년 11월 30일 (화) 곽진영 foodcoop@gamsa.or.kr 교보문고 독서경영연구소(송영숙 소장)가 주관하는 독서경영대학에 대해서는 지난 19호에서 소개했다. 독서경영대학 2기는 1년 과정으로 세 학기로 나뉘는데 ‘창조’학기, ‘소통’학기, ‘실행’학기가 3개월씩 진행된다. 기자는 지난 10월 7일에 시작된 개강식과 창조학기 첫 강의(손욱 전 농심회장, 창조리더십이란 무엇인가?)부터 지난 11월 18일의 독서토론(『상식파괴자』를 읽고)까지 6강을 소화했다. 오는 12월 16일에 마무리되는 창조학기는 첫 강의 주제(세종의 리더십을 통해 배운다)에서 보듯 ‘창조’하는 팀장이 되기에서 세종은 연구 대상이면서 .. 2011. 1. 19. 이전 1 2 3 4 5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