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칼럼|사보기고101

[광복 70 주년 8.15 특집] 일본 정한론(征韓論) 배경과 안중근 <동양평화론>의 실천적 의미(2) 일본 침략의 역사와 주요 가해 논리 가. 일본의 한반도 주기 침략설과 재침론 고대로부터 근현대사에 이르기까지 일본이 한반도를 지속적으로 침구해 온 것은 불변의 사실이다. 일본의 침략주의는 과거사에 국한되지 않고 오늘날 우리 삶과 운명에 지대한 영향 미치는 구체적 현재성을 띠고 있다. ‘독도 문제’는 바로 이 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역사적으로 지속되어 온 침략 행위를 과연 일본은 멈출 수 있을 것인가? 불행하게도 금세기 내 일본의 침략 근성이 사라지거나 약화될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2차대전 패망 후 1백년을 앞두고 있는 지금 더 강화되고 있다. 단언컨대, 일본 열도가 존재하는 한, 침략의 근성을 포기하는 일은 영원히 없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역사의 궤도는 과거의 궤적에서 크게 이탈되지 않는다. 일본.. 2015. 8. 4.
[광복 70 주년 8.15 특집] 일본 정한론(征韓論) 배경과 안중근 <동양평화론>의 실천적 의미(1) 본 고는 내가 지난 달 라는 제법 긴 제목을 갖고 발표한 글을 전재한 것이다. 일본 극우주의의 팽배와 국내 친일세력의 부왜적(附倭) 성향이 강화되는 시기, 8.15 특집으로 본 인문경영연구소에서는 일본 정한론자들의 역사적 전개과정, 주장 및 연혁과, 그에 맞서 투쟁한 사상가이자, 20세기초 지구상 가장 선구적인 반제국주의 투쟁을 표방한 인물로 실천하는 평화주의자였던 안중근 의사의 이 지닌 숙제를 되새겨 보고자 한다. 원고는 몇 회에 걸쳐 분재한다. 일본 정한론(征韓論) 배경과 안중근 의 실천적 의미 - 일본의 재(再)군사화를 기미(羈靡)하는 동아시아국가 연대 방안을 제안하며- 전경일 인문경영연구소장 서언: 한·일관계사와 일본의 침략 역사 역사는 냉철한 시선으로 바라볼 때 실천적 교훈을 얻는다. 일시적 분.. 2015. 8. 3.
실학자 홍대용으로부터 배우는 혁신정신 실학자 홍대용으로부터 배우는 혁신정신 “한평생 정력을 소모하여 100여권의 잡다한 글을 만지기는 하였으나, 이는 결국 학문에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니라, 단지 세상의 종이값이나 올리고 학도들의 안목을 혼란케 할 뿐이니, 이야말로 근세 선비들의 골수에 가득 찬 고치기 어려운 병이다.” 이 말은 짐짓 실제를 구하지 않는 다른 선비들을 질타하는 말인 듯하나, 속내는 자신을 향해 내려치는 날카로운 칼날 같은 꾸짖음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 말은 조선후기 실학자 담헌 홍대용이 그의 친구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 말이다. 그는 왜 이처럼 자기 부정의 말을 하였을까? 그것은 껍질을 부숨으로써 올곧게 속살을 드러내려고 한, 그만의 투철한 의지가 반영된 것이었다. 홍대용은 1731년 서울의 한 명문가에서 태어났다. 젊었을 .. 2015. 5. 12.
[류성룡의 징비 리더십]빨간 신호등 무시하면 허무하게 무너진다 4월호에 실린 칼럼을 소개합니다. 2015. 4. 28.
서애 류성룡에게서 배우는 징비리더십 서애 류성룡에게서 배우는 징비리더십 부끄러운 역사가 번듯하고 자랑스러운 역사보다 후세에 더 큰 울림을 주는 경우가 있다. 역사적 가르침으로 임진왜란은 바로 그런 반성과 대비에의 교훈을 주고 있다. 이 피비린내 나는 교훈의 백미를 이루는 서책이 바로 서애 류성룡 선생이 쓴《징비록(懲毖錄)》이다. 요즘 동명의 드라마로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기도 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게 된 경위와 당시 조선 조정의 내부 사정, 조선의 방위 태세 등 제반 여건에 대해 이보다 적나라하고 철저한 자기 고백은 없다. 내부를 향한 고발이자, 자신을 향한 채찍이고, 미래를 대비한 불망(不忘)의 방책이기도 하다. 서애 선생이 징비록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매우 명료하다. 그 무렵 우리는 왜 그토록 힘이 없었는가, 왜 그토록 짓밟히기만.. 2015. 3. 31.
선덕, 불리함을 극복한 예술과 같은 조건들 선덕, 불리함을 극복한 예술과 같은 조건들 KBS 대하드라마 ‘대왕의 꿈’이 인기리에 반영되고 있다. 팩션형 사극은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 데에는 무리가 있지만 흥미진진하게 전개되는 드라마를 보며 당시 신라는 어떻게 여왕을 탄생시켰는가가 궁금하기만 하다. 이른바 여주(女主)체제라 불리는 선덕왕 체제는 어떻게 우리 역사에 등장하게 된 것일까? 여기에는 신라의 골품제도 내부의 모순이 작용한다. 즉 선덕왕의 즉위는 신라 진평왕대 말기에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 접한 왕권이 진골귀족들의 정치세력화와 부상을 배제하기 위해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선덕왕의 즉위에는 만만치 않은 도전이 도사리고 있었다. 여왕체제는 왕위계승자로 내정된 시기부터 반대 세력들의 저항을 겪었고, 탄생한 정권은 상당히 불안정한 권력구조.. 2012.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