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23 [창조의 CEO 세종] 선례(先例)로부터 배우고, 다시 선례가 되어라 세종은 결코 전임 CEO들이 했던 방식을 그대로 따라하지 않았다. 비록 중국과 고려의 옛 제도에서 많은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는 했지만, 이는 벤치마킹을 위한 것이었다. 이는 세종이 중국의 옛 제도를 참고하면서도 한편으로 조선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다양하게 우리에게 맞는 방법을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선의 CEO로 취임 후 세종이 처한 현실은 세상을 바라보는 그의 방식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세상은 세종이 CEO가 되기 전에 알고 있던 것 보다 훨씬 더 크게 중국을 중심으로 돌고 있었다. 그에 비해 조선은 너무나도 빈약해 보일 수 밖에 없었다. [세종, 현실을 직시하다] 세종은 조선을 과거에 묶어 두지 않았다. 현실을 무시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현실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은, 현재를 직시하는..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문제는 매너리즘이다 국가 경영 철학은 다양한 방식으로 아웃소싱 되어, 시간을 두고 점차 한국화 되었다. 유학은 그런 차원에서 오랜 기간 서서히 민(民)ㆍ관(官) 사이에 퍼지다가 마침내 고려 말의 어지러운 정국 하에서 조선의 창업자들에게 발굴되어 국가 경영 철학으로 크게 강화되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매너리즘에 있었다. 모든 것이 굳어지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의례 즉, ‘형식’만이 권력을 치장하고, 장악해 나가기 시작했다. 이런 현상은 현 시대의 국가나 기업 경영에도 그대로 드러난다. 그리하여 어느 조직이든 ‘혁신’은 그 자체로 어디로 굴러 가든 바퀴를 달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일례를 들자면, 조선의 국가 경영 이념인 주자학에서 말하는 예(禮)는 모두 고대 중국의 성왕들이 창조한 이상적인 사회를 상세히 묘사한 것이다. 따라서 ..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빌려 온 것도 우리 것으로 만든다 세종은 ‘벤치마킹(bench marking)’과 ‘아웃소싱(out-sourcing)’의 대가였다. 그가 새로운 CEO로 사령탑을 맡은 신생 조선은 무엇이든 처음부터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활발한 문화적 교류와 선진 외래문화의 흡수는 그가 살았던 시대적 배경에 근거한다. 그만큼 그 시대는 국가 경영에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빌려와야 했고, 찾아내야 했으며, 또 참고로 해야 했다. 그것이 그 시대가 필요로 했던 경영 방식이었다. 한 시대의 분위기에 맞는 경영 방식, 그것은 원칙적으로 지켜야 할 몇 가지를 제외하고는 다 바꾸고, 조정할 수 있는 것이었다. 예컨대, 세종의 경우, 국가 CEO로서 창업 이념의 계승이나, 경영의 대상인 백성을 위한 풍요로운 사회건설 등은 결코 바뀔 수 없는 대..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법은 단 한 가지라도 잘못된 게 없을 때에야 시행한다 ‘문자’와 더불어 ‘제도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법(法)’이다. 세종 이전에도 ‘법’은 만들어 졌고, 개선되어 왔다. 그러나 ‘법’다운 ‘법’이 있었다고 보기엔 미흡했다. ‘법’을 바로 세우지 않는 한, 국가 기강은 물론이려거니와 CEO의 국가 경영 방침을 명확하게 밝힐 수도 없었다. 또한, 형을 집행함에 있어서도 공정성을 꾀했다고 할 수 없다. 세종은 법 집행에 앞서 공평무사한 법 제정에 관심을 갖고 이를 밀고 나갔다. 그가 한 다음의 말은 세종이 법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지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법을 개정할 때에는 현행법에 열 가지의 폐단이 있고 새 법에 한 가지의 폐단도 없다고 판단된 후에야 바꾸어야 한다. 만일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여 법을 제정하려 한다면 백..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멀티 플레이어의 시간전략: 시간은 ‘간종법’을 써서 활용하라 세종의 이런 방식은 그대로 두 세 가지 프로젝트를 동시에 병렬적으로 처리하는 ‘멀티플레이어’ 전술로 나타났다. 그야말로 업무 혁신ㆍ프로세스 혁신이었다. 세종은 이처럼 동시에 병렬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나갈 때, 효과도 높고, 결과도 만족스럽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그는 국가 인프라 확충과 관련된 여러 작업 중에서 핵심 사업의 하나로 평가된 행정 제도 개편도 다른 프로젝트들과 동시에 연동해 실행했던 것이다. 무엇보다 신생 조선이 중앙집권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구와 토지에 대한 관리가 중요했다. 자신이 다스리고 있는 땅이 얼마나 되는지, 거기에 백성들이 얼마나 살고 있는지, 그것을 정확하게 안다는 것은 경영의 가장 기초적인 자료였다. 그리고 이러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는 제도적 밑..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제도는 그것을 운영하는 사람이 문제다 조선이 안고 있는 문제들은 대부분 제도적인 것에서 나왔다. 따라서 문제점이 보인 이상 세종은 이를 개선하고자 신속하게 지휘봉을 잡아 들었다. 여러 현안 중에서도 토지제도를 중심으로 한 농정 개혁은 조세 기준을 명확히 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했다. 더구나 세종이 이 문제를 핵심적으로 보게 된 배경에는 그것이 백성들의 ‘먹거리’ 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었고, 그것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권력이 개입하며 탈법이 횡행할 여지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신생 조선에도 이런 현상은 빈번하게 나타났고, 고려 말에는 관리들의 부정이 극에 달했을 정도였다. 따라서 세종은 우선적으로 농정기술을 보급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했다. 낮은 생산성 하에서는 결코 세종이 꿈꾸던 ‘풍평(豊平)’과 같은 풍요로운 세상을 기대할 수.. 2009. 2. 3. 이전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 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