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23 [창조의 CEO 세종] 국가적 인프라를 만들라 세종은 신생 조선의 CEO로 취임하면서 도덕성과 능률성 그리고 투명성을 통해 국가 경영상의 제도적 틀을 확고히 하고자 했다. 그는 개인적으로도 구체적이고 명백한 것을 선호해 이를 자신의 경영 색깔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CEO가 되면서부터 세종은 정치ㆍ사회ㆍ문화ㆍ경제 및 산업전반에 걸쳐 확고한 ‘기반 다지기’에 들어갔다. 그는 이러한 제도의 마련이나 국가 경영상의 선례가 후세에 깊이 영향을 미칠 것을 깊이 고려했다. 세종은 무엇보다도 역사라는 거울에 비친 역대 CEO들의 모습을 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이것은 그가 단지 스타 플레이어의 의식을 가지고 당대의 ‘낯 내기용’ 사업에 주안점을 두었다는 게 아니다. 오히려, 그 자신 당대에는 인정을 받지 못하는 일이라고 할지라도 지속적으로 국가 인프라가 될..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정보 관리의 CEO가 되어라 세종은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국가 CEO 이자, CIO(Chief Information Officer)였다. 그의 정보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신념은 오늘날 인터넷의 특징인 새로움ㆍ개방성ㆍ유효성과 일맥상통하는 것 같아 보인다. 그는 정보에 민감했으며, 정보를 국가 경영의 주요 수단으로 활용했고 심지어 그 자신이 정보를 유통시키고자 부단히 애를 썼다. [더블 타이틀, CEO & CIO] 사실, 정보를 모으고 이를 통해 무엇인가 배우고자 하는 CEO를 가까이 둔다는 것은 구성원 전체가 그것 하나만으로도 커다란 혜택을 누리는 거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지속적인 학습 시스템이 만들어 지며, 거기에는 분명 자유로운 정보의 교환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이권(利權)은 오너에게 집중된다? 상업을 포함하여 경제 전반에 대한 운용과 관장은 최종적으로 국가와 CEO에게 속하는 권리였다. 조선 정부는 전체 상업을 독점 관리하였고, 이들 상업과 상인의 활동은 국가가 장악하여 통제했다. 이것을 ‘이권재상(利權在上)’이라고 한다. 이는 모든 이권은 상(上), 즉 국가와 오너에게 귀속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군주제 하에 당대 상업론의 핵심이었다. 따라서 현실 세계에서 경제상의 이권을 둘러싸고 전개되던 신분 질서는 아래로 내려가 ‘상(上)’이 사(士)와 농(農)을, ‘하(下)’가 공(工)과 상(商)의 위치를 점하며 이를 지배하는 구조였다. 그리고 그 맨 위에는 임금, 즉 국가 CEO가 있었다. 조선은 한마디로 한 가계(家系)가 소유하고(family owned) 경영권을 행사하되, 관료들과의 경쟁과 협..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세종 특명: 경제를 잡아라! 예나 지금이나 빵 없이 충효의 마음을 갖게 하기란 어렵다. 세종시대에도 먹고 사는 문제는 ‘치도(治道)’ - 즉, 국가 경영 - 의 핵심 사항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유교를 기본 경영 이념으로 하는 신생 조선으로써는 백성들의 먹고 사는 문제가 최우선 과제였고, 그 다음이 교육이었다. 이것을 가리켜 ‘선부후교(先富後敎)’라 부른다. 즉, 백성들이 먹고 살기에 아무런 지장이 없도록 생활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어떠한 CEO도 제대로 경영했다고 볼 수가 없다. 예나 지금이나, 백성들이 ‘배를 두드릴’수 있어야 하는 것은 국가 CEO에게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심지어 이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CEO는 권좌에서 쫓겨나는 신세에 내몰리기도 했다. 세종이 당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는 바로 ‘경제’에 있..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세상엔 완벽한 CEO도 있다 세종은 국가 경영자이기 전에 한 인간으로도 완벽했다. 세종을 국가 CEO 측면에서 평가하자면, 그에게는 실적을 뛰어 넘는 분명히 다른 기준이 있었다. 세종처럼 정통성ㆍ효율성ㆍ도덕성을 다 갖춘 인물도 흔하지 않거니와, 거기에다가 세계 역사상 유래를 찾아 보기 힘든 천재적이며, 실천적인 최고경영자를 찾기란 더욱 힘든 일이기 때문이다. 그는 바로 실천의 화신이자, 국가 경영의 귀재였다. 세종에게 있어 권위는 그의 업적에 따라 당연히 찾아오는 보너스 같은 것이었다. 그는 한번도 CEO라는 지위를 권위를 돋보이게 하기 위한 자리로 인식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의 권위는 CEO를 자처하는 뭇 제왕들의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었다. 인성적 측면이 무엇보다도 강했다. 세종의 권위와 리더십을 상징하는 여러 태도 중에서 ..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문무(文武)의 카리스마를 쌓아라 세종을 가장 이상적인 CEO로 보는 이유는 그가 현시대의 리더십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조선이 유지되는 동안에도 항시 변함 없었다. 예를 들어, 세종은 문종 때부터 철종 대에 이르기까지 대략 200여 번이나 인용되면서 역대 CEO들 중 제일 많이 언급되는 영예를 얻게 된다. 그는 죽어서도 조선 제일의 벤치마크 CEO 였던 셈이다. 우리에게 가장 현실성 있는 리더십은 바로 우리의 역사 속에서 찾아진다. 세종이 바로 그러했다. 그는 CEO의 전범(典範)이었고, 국가 경영의 영원한 레퍼런스(reference)였다. 이러한 세종 자신의 리더십은 과연 어디서 오는 것일까? 그것은 그 자신의 학문적 깊이와 균형 잡힌 인격에서 나온다. 그 시대는 자신만 준비되어 있다면, 충분히 세종과 같은 .. 2009. 2. 3. 이전 1 ··· 152 153 154 155 156 157 158 ··· 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