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23 [창조의 CEO 세종] 작은 실수보다 큰 공을 높이 평가하라 [조직 운영의 달인이 되어라] 어느 시대나, 어느 조직에서나 조직 운영의 달인들을 보면, 그들은 하나 같이 현실을 짚어 볼 줄 안다. 조선의 전임 CEO들도 예외가 아니다. 창업을 위해 많은 세력들과 연대하거나 제휴해 그들을 끌어들였다. ‘지금의 문제’를 알고 조직적으로 대응했던 것이다. 국가경영권을 놓고 벌어지는 싸움은 당연히 생사를 거는 문제였다. 따라서 승리하기 위한 ‘힘’은 국가 경영권 창출에 결코 없어서는 안 될 핵심 요소였다. 조선은 강한 힘을 얻어 역성혁명에 성공 했으나, 내부에 ‘공신(功臣)’이 넘쳐났다. 그리하여 조직 내부엔 인력 과부하 현상이 생기고, 그러다 보니 실질적으로 일을 할 인재들을 배치할 자리는 많지 않았다. 더구나 공신들을 달래기 위해서는 ‘낙하산 인사’가 필요하기도 했다...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나는 가까이 있어도 너가 그립다 [팀 플레이를 하라] 세종은 일이 되도록 하는데 남다른 능력이 있었다. 그에게서는 국가 CEO라고 해서 강압적인 측면을 찾아 볼 수 없다. 그것은 자신과 남의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는 데서 오는, 무릇 역사상 ‘경계’를 뛰어 넘지 못하는 CEO들이 취하는 가장 손쉬운 방식이었다. 세종의 이같은 측면은 역사상 다른 CEO들과 비교해 분명 차별화의 요소다. 세종은 개인과 팀을 구분해 접근하되, 그것이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알고, 그에 대한 조직 운영 및 정책상의 배려를 각별히 했다. 무엇보다도 모든 사람을 유일한 개인 개인으로 인정하고 존중했다. 그가 ‘천민(賤民)’을 ‘천민(天民)’이라 한 것도, 각 두뇌집단에 소속된 멤버들에 대한 경력 관리를 개인의 특성에 맞게 실시한 것도 모두 알고 보면, 인간에 대한 ..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현장과 밀착하라 세종은 취임 초부터 백성을 가까이 하는 소위 ‘근민지관(近民之官)’을 면담하기 시작했다. 세종 7년 12월부터는 2품 이하의 모든 수령까지 면담 했는데, 그 이유는 바로 수령들에게 세종 자신을 대신하여 백성을 사랑으로 대하는 최고경영자의 마음을 일깨워주기 위해서였다. 세종은 지방 경영의 실질적 대행자인 수령으로 하여금 상ㆍ하의 영향으로부터 독립하여 소신행정을 펼칠 수 있도록 그 권한을 보장해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감독하면서 보완하고자 했다. [목표관리에 근거한 위임경영] 세종의 이 같은 위임은 철저하게 목표 관리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세종은 이 같은 제도의 활용으로 지방 수령에게 부여한 책임 경영이 효과적으로 수행되리라 기대했다. 국왕-감사-수령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관치행정 계통과 경재소-유향소..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장기적 안목으로 팀을 키우라 세종이 취임 초에 집현전을 세우고 집현전 소속 멤버들을 특별 우대한 것은 학문 자체의 목적도 있었지만, 동시에 CEO의 수족이 될만한 세력을 키운다는 목적도 없지 않았다. 그리하여 베스트 오브 베스트 멤버 10은 최상의 방식으로 선발된 핵심 요원들이었다. 이들은 다양한 학술 활동을 통해 CEO가 어떤 사안에 대해 해결방안을 물으면 이를 역사적인 사실에 비추어 조사하고,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그야말로 가히 측근 브레인 집단이었다. 더불어 이들은 CEO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정보활동 및 참고 활동 - ‘비고문(備顧問)’이라 불림. - 도 더불어 수행했다. 그런 의미에서 중국과 고려의 옛 제도에 대한 벤치마킹은 매우 중요했다. 나아가 이 모든 것들은 ‘조선에 맞는 형식’으로 재창조되어 적.. 2009. 2. 3. [창조의 CEO 세종] 믿음과 열정으로 마음의 불을 지펴라 [싱크 탱크를 운영하라] 세종은 추천과 발탁제도 이외에도 ‘과거(科擧)’라는 채용 시험을 통해 인재들을 공정하게 뽑아 들였다. 싱크 탱크인 집현전의 핵심 요원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채워졌다. 집현전은 국가경영상의 현안 문제에 대한 안을 마련하는 전문가 집단으로 자리 매김 되었다. 명실상부하게 집현전은 조선의 경영정책 및 전략수립의 장이자, 당대 최고 인재들의 집합소였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고려 때 명분뿐이던 집현전은 세종시대 이르러 환골탈퇴를 하며 핵심 인재들간의 이너서클(inner circle)로 발전한다. - 이 이너서클의 멤버로는 영의정을 비롯해 최고위급 인사들이 있었고, 이들 대부분 정규 고위 관직을 겸직 하였다. - 세종의 이러한 조치는 집현전을 훨씬 더 중요한 기관으로 만드는데 상당한 영.. 2009. 2. 3. 위상재인(爲商在人): “사업은 사람에게 달려 있다” [이순지(李純之)씨의 경우] 이순지는 문과에 급제한 양반 집안의 준재로 앞길이 보장된 인재였다. 그런 그에게 세종은 중인 계급에서나 하는 학문인 산학(算學) - 지금으로 얘기하자면 고급수학ㆍ통계학 등을 말한다. - 을 연구하라는 특명을 내린다. 그가 보여준 수학적 재능은 그에게 천문과 역법을 맡기기에 충분했다. 당사자로서는 자신의 신분보다 낮은 일을 맡으라는 지시가 결코 달가운 일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순지는 선뜻 세종의 뜻을 따랐다. 15세기 최고의 천문학자 이순지는 이렇게 탄생한다. 세종의 용인술의 핵심은 ‘적재(適材)를 적소(適所)에 배치한다’는 것이었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반드시 후하게 해준다는 것이었다. 그럴 때 인재는 모이고, 자라나며, 아낌없이 능력을 드러낸다. 세종의 인재 육성책은.. 2009. 2. 3. 이전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