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23

‘일본발(發) 왜구’의 발호-료순의 정치공작 ‘일본발(發) 왜구’의 발호-료순의 정치공작 1350년 ‘경인년 왜구’ 이후, 1360년대에는 왜구가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이 시기를 지난 1372년부터 고려에 왜구가 갑자기 크게 출몰한다. 그 무렵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진 것일까? 이 시기는 1371년 이마가와 료슌(今川了俊)이 규슈 단다이(九州探題)로 내려온 다음 해라는 특징이 있다. 왜구 재출몰은 이와 관련있다. 일본에서는 남북조 내란 말기에 북조(北朝)의 3대(代) 쇼군 아시카라 요시미츠(足利義滿)가 남조가 장악하고 있는 규슈를 탈환하기 위해 1370년 이마가와 료슌을 규슈 탐제로 임명한다. 탐제(探題)란 일본 무로마치(室町) 막부 시대 주요 지방을 다스리던 지방장관을 말한다. 다음해 료슌은 일족의 장군들과 함께 규슈에 상륙해 이곳의 지.. 2015. 10. 20.
혁신은 밑바탕을 읽어내는 힘에서 나온다 2015. 10. 1.
일본의 재침을 우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본의 재침을 우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 일본은 한반도를 주기적으로 침략해 왔고 지금도 일본 군국주의 세력은 한반도 재침을 획책하고 있다. 일본은 대륙진출이라는 광포한 욕망으로 1620년간 한반도를 자그마치 900여회나 침략했다. 이는 인류 역사상 유래 없이 긴 ‘전쟁’으로 지금도 현재진행형에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일본의 치밀하고 집요한 한반도 공략을 얼마나 인식하고 있는가? 인식은 고사하고 MB처럼 “뼛속까지 친미, 친일”이라는 부왜적(附倭的) 사상이 극을 이루고 있다. 한반도사에 이 같이 망국적 발언이 횡행한 적이 있던가? 21세기 들어서도 일본의 한반도 침략 야욕은 수그러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인간의 삶처럼 역사도 탄생기, 성장기, 전성기, 쇠락기가 존재하지만 일본의 한반도 침략사에는 .. 2015. 9. 25.
레드불과 튀니지 재스민 혁명 ⓒ인문경영연구소, 전경일 소장 ⓒ인문경영연구소, 전경일 소장 2015. 9. 4.
해녀들의 '불턱'커뮤니케이션 ⓒ인문경영연구소, 전경일 소장 2015. 8. 26.
세종의 창조적 역량 ⓒ인문경영연구소, 전경일 소장 2015.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