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032 꽃망울은 천하에 봄을 들여놓고 남도엔 일찌기 꽃망울 터져 봄을 자랑하고 있었습니다. 세상에! 도심에선 삶에 쫓겨 꽃이 피는지, 푸성귀가 새로 나는지 도통 염두도 없다가, 생각을 한적히 풀어 놓으니 자연이 보입니다. 이곳 저곳에서 힘껏 삶의 대궁을 타고 올라와 작렬하는 꽃들! 계절은 삶의 이정표를 어디다 두어야 할지 알게 합니다. 이번 여행 이후 남도 여행을 다시 계획해 볼까 합니다.ⓒ전경일 2009. 3. 16. 덕유산을 바라보며, 四時의 엄중함을 읽다 가족과 함께 남도순례를 다녀왔습니다. 최근 쓰고 있는 글을 완성하려는 현장 답사 차 다녀온 셈이죠. 덕유산휴게소에서 바라본 산은 春陽에 놓여 있어도 설화를 잔뜩 겨안고 있는 폼이 역시 눈의 산, 덕유 같더군요. 봄볕은 쏟아지고, 이제는 물러서야 할때, 4월중순까지 잔설은 남아 있다가 겨울이 올 때까지는 퇴각명령을 수행해야겠지요. 인생이 이렇듯 때를 알고 살아야 하는 것일진데, 제 계절이 아닌 것들이 요란하기만 합니다. 때가 가고, 때가 오는 나이 - 산꾼들이 듬성듬성 휴게소로 모여듭니다.ⓒ전경일, 2009. 3. 16. 입을 벌려라 삶은 굳게 입을 다무는 게 아니다. 말 수는 적어도 먹고 사는 입은 활짝 벌려 비를 받아야 한다. 먹고 살 양식을 모아 두어야 한다. 엎어진 장독을 보며, 저런! 저건 아닌데... 왜 그런 생각이 들었을까? ⓒ전경일,humanity.kr 2009. 3. 13. 삶은 크고 작은 것들이 어울리는 것 우리나라 성곽이나 담장이 그렇듯, 크고 작은 돌들이 모여 단단한 형세를 이룬다. 크고 작은 것들... 삶도 이와 같지 않을까? 완당의 서체를 볼때 느끼는 것도 이와 같다. 크고 작은 것들의 조합이 꽉 차여진 느낌이 든다. 그래서 그득 들어 있는 감응이 인다. 작은 것과 큰 것의 어우러짐, 어느 하나 버림없이 쓰임이 다 있는 삶과 세상. 그런 세상은 얼마나 아름다울 것인가. ⓒ전경일, www.humanity.kr 2009. 3. 13. 오래된 우표책을 찾다 엄마가 어렸을 적부터 모으던 우표책이 큰 딸아이에게 넘어 갔다가 드디어 둘째 녀석 차지가 됐다. 비어 있는 칸을 채우기 위해 우표를 사오라고 해서 우체국에서 최신 우표를 2만원어치나 샀다. 둘째는 앞으로 어떤 우표를 모으게 될까. 거기엔 어떤 작은 즐거움이 있을까? 내가 모으던 우표책을 오래 전 조카에게 물려주었다고 하니 불만이다. 하하하... 전수란 그건 것 아닌가. ⓒ전경일, www.humanity.kr 2009. 3. 13. 자기 몫은 꼭 해 낸다 한국 축구를 보고 있노라면, 화려한 스타급 플레이어 뒤에서 훌륭히 조연 역할을 해내고 있는 많은 선수들을 발견하게 된다. 카메라가 공을 넣은 선수를 쫓고 있을 때, 앵글에는 잡히지 않지만 저 멀리 어시스트한 선수들을 생각하게 된다. 연전에 축구를 좋아하는 친구와 함께 상암구장에 갔었는데, 붉은 악마 출신인 이 친구는 골이 터지자 내게, “뒤를 보세요. 공을 넣은 저 선수 말고, 저기까지 전술을 수행해 낸 친구들을요” 하며 주의를 환기시켰다. 그 친구 말마따나 공을 쏘아올린 뒤에 포진한 선수들은 다시 긴장 상태로 전방을 주시하는 것이 보였다. 그들 모두가 각자 자기 몫을 재대로 해내는 일체감이 느껴졌다. 나는 그때, 작으나마 깊은 감명을 받았다. 흔히 가치라 함은 겉으로 드러난 결과만을 얘기하는 경향이 있.. 2009. 3. 9. 이전 1 ···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