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경일430

빨판상어를 잡아 죽여라! 스칸디나비아 표르드(fjord: 좁은만)해협에서는 알 수 없는 일이 일어나곤 한다. 얼음에 갇힌 바다에서 배가 꿈쩍도 하지 않는 현상이 종종 벌어지곤 한다는 것이다. 얼음이 배를 꽉 물고 놔주지 않아 생기는 현상이 아니라, 알 수 없는 힘이 배를 정지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선원들에게는 신비스럽고, 두렵기만 곳이었다. 과연 그곳에선 무슨 일이 벌어졌을까? 항해가 시작된 오랜 옛날부터 이런 현상은 종종 나타나곤 했다. 로마의 역사가 플리니에 의하면, 황제 캘릴굴라의 함대 중 한 척인 갤리선이 어떤 바다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되자, 모든 함대의 전진이 갑자기 정지되어 버렸다고 한다. 움직일 줄 모르던 배는 한 선원이 갤리선의 키에 달라붙어 있는 한 마리의 빨판상어를 발견하여 죽여 버리자 배는 다시 앞으로 나갈 .. 2011. 2. 25.
[예종] 질투심과 의욕과잉이 일을 망치다 왕은 용상에 올라 국정에 임한 때로부터 대개 죽어서야 임기가 끝난다. 임기가 어느 정도 보장돼야 통치자도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 하지만 14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더구나 모후의 수렴청정이 점철된 것이라면... 해서 왕의 건강과 안위는 국정에 필수요소다. 세조의 죽음으로 인한 새로운 정치 지형도. 그리고 새롭게 등장한 나이 어린 국왕... 조선의 예종은 훈신정치의 발호를 더욱 거세게 만든 장본인이었다. -왕께서는 조선 역사상 처음으로 수렴청정을 받아들이게 된 분인데요. 직접 통치하지 못하고 모후 정희왕후의 대리 통치를 받게 된 소회가 어떠신지? "그야 말할 것 있나. 형님 의경세자가 20살의 나이로 죽고 나자 나 또한 준비없이 19살 어린 나이에 왕위를 물려 받았고, 부왕(세.. 2011. 2. 15.
[단종] 너무 짧은 생애는 한이 되어 떠돈다 국가 경영이란 중책을 어린 왕에게 맡길 만큼 세상은 녹녹한 게 아니다. 하여 어린 왕세자는 자신의 가장 큰 후원자인 부왕이 유명을 달리하는 때로부터 한없는 나락으로 굴러 떨어진다. 권력 앞에 어제의 신하들은 야수가 되어 물어뜯는 게 정치판일 터! 여기 못다 핀 꽃으로 남아 영월 청령포 모래사장에는 푸른 물결 세월을 감고 도는 홍위(弘暐)의 넋이 지금도 잠 못 든다. 조선의 제 6대 임금, 단종. 그의 생애는 바람의 넋으로 떠돈다. -왕은 스스로 왕이 되리라고 생각했습니까? "선왕이 붕어하셨으니 내가 왕이 되는 건 당연한 이치겠죠. 헌데, 내가 너무 어려 만기를 찬람할 수 없었던 게 한이지요. 그러다보니 권력에 눈 먼 자들이 숙부를 사주해 왕위를 농락하고자 한 거고, 그게 계유정란이었던 게지요." -왕을 .. 2011. 2. 15.
나무 사이로 경영이 흐른다 잎잎이 하늘을 뒤덮는 계절에는 볼 수 없는 적나라한 숲의 세계를 눈 내린 겨울 숲에서 찾는다. 가만히 살펴보면 나무와 나이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다. 이런 거리를 두고 ‘격(格)’이라고 부르던가. 개별 나무들의 생존과 공존이 어우러진 일정한 거리, 그 거리가 유지될 때 나무들은 숲의 하모니를 이룬다. 나무들의 일정한 거리는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하고, 숲이 이동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기도 한다. 숲은 고정되어 있는 것 같아 보이지만, 시간을 두고 서서히 이동한다. 숲을 잠시 동안만 찾는 우리 눈에는 잘 보이지 않을 뿐이지만 말이다. 그 방식이 ‘일정 거리 확보 후, 확장’ 방식을 취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어느 누구도 방해받지 않고, 어느 나무도 타인의 공간을 침해하지 않는 나무들의 포지션을 볼 .. 2011. 2. 10.
미래 인재 키워드 ‘통섭’을 말하다 _ 전경일 소장 '통섭' '초영역 인재' 인터뷰 미래 인재 키워드 ‘통섭’을 말하다 詩 쓰는 공학도, 문과 출신 엔지니어 詩 쓰는 공학도, 문과 출신 엔지니어 미래 인재 키워드 ‘통섭’을 말하다 얼마 전 뉴욕타임스는 20세기를 풍미한 경영학석사(MBA)가 저물고 전문이학계열석사(Professional Science Master, PSM)의 시대가 예상된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PSM은 과학, 수학, 경영, 법학 등 실용 학문을 함께 가르치는 석사 과정으로, 이공계 출신들에게는 인문·사회과학적 소양을, 인문·사회계 출신들에게는 과학 지식을 가르쳐 기업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인데요. 미국 대학이 선도하고 있으며, 영국과 호주의 대학들도 속속 PSM 과정을 개설하는 분위기라네요. CEO라도 과학을 모르면 경영이 힘들고, 엔지니어라도 인문학.. 2011. 2. 8.
세상을 멋지게 만드는 황금비율 글을 쓰는 나는 새로운 소재감을 다양한 분야에서 얻곤 한다. 요즘 내가 흠뻑 빠져 지내는 게 야생초나 잡초와 같은 풀들인데, 얼마 전 이 분야의 베테랑 작가인 이나가키 히데히로가 쓴 글을 읽게 됐다. 나의 눈을 확 휘어잡은 것은 망초라는 북아메리카에서 들어온 귀화식물이었다. 이 풀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두 개의 법칙이 잎 사이를 벌려 나가는 ‘잎차례’에 엄연히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법칙이란, ‘피보니치 수열’이 만들어내는 ‘심퍼-브라운의 법칙’이다. 고등학교 수학 시간에 배운 간단한 수학 지식을 한번 테스트 해 보자. 1, 2, 3, 5, 8, 13...으로 이어지는 숫자들의 공통점은? 바로 앞의 숫자를 더해 나가는 수열이다. 요는 이 수열이 식물들이 ‘잎차례’를 바꿔 나가는 게 그대로 적용.. 2011.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