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경일430

거물못 , 째못, 융습합(融習合)의 새로운 지식 세계(2) 그렇다면 통섭은 어디서 올까? 가장 전형적인 통섭 형태는 ‘자연을 흉내 내는 일’에서 시작된다. 인간사회를 바꾼 수많은 도구와 아이디어가 자연에서 비롯됐다. 어느 기업은 동물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연구해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기 위해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통섭의 메카’로 불리는 MIT 미디어랩은 1985년 이래 매년 수 백 건 이상의 미래형 먹거리를 만들어내는 ‘상상력 공장’이 됐다.” 대학이 통섭의 거대한 실험장이 되고 있는 것이다. 국내의 삼성, LG, SKT 등 휴대폰 제조(혹은 서비스)회사들은 생물학적 특성을 살린 강력한 휴대전화를 만들기 위해 연구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국내 한 무선기기 제조사의 신입사원 채용 일화는 이를 잘 드러내 준다. 국내 통섭학의 주창자이기도 한, 자연과학자 최재.. 2010. 5. 15.
거물못 , 째못, 융습합(融習合)의 새로운 지식 세계(1) 우리의 전통 고건축은 통섭의 멋과 힘을 한껏 드러내 준다. 못하나 박지 않고도 전체 건물이 한 덩어리가 된다. 천의무봉한 우리 고건축의 비밀은 무엇일까? 나무와 나무를 정확하게 교차시키고 끼워 맞춰 한 몸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못이 없어도 홈을 파서 연결하면 시간이 갈수록 한 덩어리가 된다. 우리 건물이 소나무 재질을 쓴다면, 노송나무를 고건축의 주재료로 쓰는 일본은 시간이 갈수록 나무가 못을 조여 주게 한다. 나무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다른 것이다. 일본 장인이 지닌 기술 정신의 기저는 효율성이요, 우리는 합치와 조화다. 이 차이가 지금까지의 산업의 차이를 가져왔다. 이처럼 우리의 건축물은 못 하나 박지 않고도 집 전체를 하나로 묶어 낸다. 천년을 견뎌온 목조문화재의 비밀은 바로 이 같은 ‘이음법’에.. 2010. 5. 15.
두 손이 자유로우면 천하를 지배 한다 역사적으로 철제 등자(鐙子)의 등장은 이들 유목민들의 손을 자유롭게 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등자는 말을 탈 때 디디는 제구를 말한다. 적어도 3, 4세기까지 유목 기병들은 아시리아의 발판과 스키타이 인디안의 발(足)거리 쇠사슬처럼 철제 등자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이제 말을 타면 두 발을 지탱할 수 있었고, 이는 두 손의 자유를 가져왔다. 가히 획기적인 발명품이 인류 역사에 등장한 것이다. 두 손의 자유는 말 위에서 활을 쏠 수 있는 기술을 급격히 강화시켰다. 이제 승마인들은 활을 당기면서 안장 발거리를 딛고 안전하게 서 있을 수 있었다. 등자는 말 엉덩이 너머로 쏘는 파르티아식(式) 활쏘기를 가능하게 했다. 우리나라 고구려 고분 벽화에 등장하는 활쏘기는 바로 이 같은 장면을 잘 보여주고 있는 .. 2010. 5. 15.
불모의 자연조건이 야생성을 강화시킨다 예로부터 농경민과 유목민이 만나는 접점은 조용할 리 없었다. 거기엔 교역이 있었고, 끊임없는 욕망이 들끓었다. 주로 이 지역의 자연 현상은 최소한의 강우량과 관련지어 생각할 수 있다. 물 부족은 주기적으로 흉년을 가져왔다. 농경민과 유목민의 교역은 쉽게 정치적인 관계를 가져왔다. 힘의 균형이 깨지고 만일 중국의 힘이 약화되면 이는 곧 중국과 민족의 대결구도로 바뀌었다. 예컨대, “거란족이 세운 요는 지리적으로 그리고 행정적으로 북경과 만리장성 바로 북장 현 열하지방에 중심지를 잡았다. 이 지역은 살 수 없을 만큼 춥고(열하에서는 1년중 100일만이 서리가 없는 날이다.) 강우량도 겨우 10내지 15인지 밖에 안된다.” 열악한 자연 환경에서 정복자는 나왔던 것이다. 마찬가지로 오늘날 기업도 열악한 조건에서.. 2010. 5. 15.
고조선을 계승한 뿌리 고구려인들은 스스로 믿기를 그들은 자신을 ‘천손(天孫)’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그들의 국가는 하늘의 자손들에 의해 통치되는 ‘천손국(天孫國)’이며, 그러기에 그들은 대단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또한 제국의 시민답게 고구려인들은 자주 의식이 매우 강했고, 민족 자아성이 무척 강했다. 고구려인의 독자적 천하관은 중국과는 사뭇 다른 것이었다. 다시 말해, 이 같은 천손 개념은 중국 한족 왕조의 추상적인 천자 개념과는 확연히 대비되는 것이었다. 당당한 독립 국가라는 점에서 보다 고구려다운 색깔이 뚜렷히 나타난다. 그러기에 모든 면에서 자신감에 가득 찼고 위풍당당했다. 이 같은 믿음은 천하를 경영하는데 거침없이 나타난다. 광개토태왕비와 중원고구려비는 이런 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능비의 서문과 모두루 묘지명에.. 2010. 5. 15.
고구려의 경영이념, 다물(多勿)사상 고구려는 우리민족이 세운 대표적 국가로 만주일대와 한반도 중부 이북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 및 광범위한 해양영토를 보유한 대제국이었다. 기원전 37년에 남만주에서 건국되었다고 하지만, 그보다 더 오래 전에 세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 의하면, 그들은 북부여를 계승했는데, 북부여는 현재 북만주인 대홍안령 일대에서 남만주 일대에 걸친 반농ㆍ반유목의 나라였다. 고구려는 건국하자마자 주변에 있었던 소국들을 신속하게 병합해 나간다. 확장의 시점을 실기하지 않고, 국운융성의 기회로 발전시킨 것이다. 그리하여 창업 이래 700여년 이상을 존속하면서 독특한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주변종족들을 아우른 세계국가를 일구어냈다. 이 같은 팽창은 고구려인의 진취적 기상이 반영된 것으로, 막강한 군사력의 기초가 된다. 이런 연유.. 2010.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