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004 지속가능 전쟁의 결정판: ‘임진왜란 7년 전쟁’ 지속가능 전쟁의 결정판: ‘임진왜란 7년 전쟁’ 1275년과 1281년의 ‘대(對)고려 침공 계획’이 무산되고 난지 311(317)년이 지난 1592년, 일본은 마침내 한반도에 대한 대대적 침략 전쟁을 개시한다. 이번에는 불발이 아니라 실질전쟁이자, 대대적인 국가 전쟁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전쟁의 참상은 상상을 초월한 것이었다. 이미 전전(戰前) 몇 년간 일본은 전쟁을 치밀하게 준비했고, 전란 중 4년의 강화(講和) 기간을 포함하여 전쟁 상황이 7년간 지속되었다는 점에서 초(超)장기전 양상이었다. 우리가 부르는 임진왜란 7년 전쟁이 이것이다. 임진왜란은 앞서 계획했던 두 번의 대대적인 정벌 계획처럼 일본이 국가적 차원에서 계획하고 추진하였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나, 오랜 왜의 한반도 ‘정토(征討) 계.. 2012. 8. 13. 왜(倭)의 이국정벌론: ‘대(對)고려 침공계획’ 왜(倭)의 이국정벌론: ‘대(對)고려 침공계획’ 일본의 ‘신라정토 계획’이 무산되고 난 다음 실로 오랜 세월이 흐른 1271년 5월 들어 한․일 간에는 새로운 전란의 파고가 요동친다. 당시 고려는 대대적인 몽골의 침입을 받았는데, 몽골 침입군에 맞서 고려 삼별초는 최후의 거점인 진도에서 항전을 거듭하고 있었다. 여몽연합군의 공격에 함락되기 직전, 계속 밀린 삼별초는 왜의 막부에 첩장을 전달했다. 첩장의 내용과 목적은 뚜렷했다. 몽골이 일본을 공격할 것이라는 것, 식량 및 병력 지원을 요청한다는 것, 연대해서 몽골 침입군을 막자는 것 등이었다. 그러나 이 제안은 삼별초의 첩장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일본 막부에 의해 무시되고 만다. 대신 막부는 몽골 사신 조양필이 다자이후(太宰府)를 다녀간 1개월 .. 2012. 8. 13. [고구마 초발혁신가 조엄: 통찰이 빚어낸 놀라운 결과 통찰이 빚어낸 놀라운 결과 이 글에서 다루려는 한 인물에 대해 짤막한 평을 달자면, 아마도 이런 수식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고구마를 전래해 온 사나이. · 위대한 사고와 행동으로 조선 백성의 굶주림을 해결하고자 했던 목민관. · 고구마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성과를 관리한 경영자. · 시대의 주요 모순을 직시하고 해법을 찾고자 고군분투한 경세가. · 문익점의 ‘입을거리’ 혁명을 벤치마킹해 ‘먹거리’ 혁명을 이뤄 낸 식(食)문화의 초발혁신가. 이 사람은 다름 아닌 조선 후기 문신 영호(永湖) 조엄(趙曮)이다. 이 같은 수식어가 붙어도 부족하지 않을 조엄은 과연 누구일까? 조엄을 알려면 우선 그의 집안 내력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듯싶다. 조엄은 조선후기 권문세가인 .. 2012. 8. 9. 당포해전: 거북선은 적진을 가르고 당포해전: 거북선은 적진을 가르고 당포해전은 사천해전을 시작으로 당포, 당항포, 율포 해전을 포함한다. 이때 장군은 왜선 70여 척을 격파한다. 이 사천해전에서부터 저 유명한 거북선이 등장한다. 장군은 적의 형세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적은 이미 상륙해 산 위에 진을 치고 배는 산 밑에 벌여 놓았다. 적의 상태를 파악한 장군은 적과 아군의 위치, 조류, 공격방법 등을 판단한 다음, 유인작전을 펼치기로 작전계획을 세운다. 사천해전은 유인 섬멸이 주전략인데 그 진행 과정을 살펴보도록 하자. 사천에 이르러… 공은 아침 조수가 나갈 때라 큰 배가 뭍 얕은 항구로 들어가기 어려우므로 짐짓 패한 듯이 하여 꾀어내어 한바다에서 쳐부순다면 섬멸할 수 있으리라 판단하고, 드디어 나팔을 불며 배를 돌리니, 적이 예상한 대로.. 2012. 8. 7. 옥포해전: 경영자라면 태산같이 무거이 하라 옥포해전: 경영자라면 태산같이 무거이 하라 1592년 4월 13일 부산포에 상륙한 적은 다음 날 오전 전투를 개시해 불과 5시간 만에 정발(鄭撥)이 지키던 부산성이 떨어지자 파죽지세로 북상한다. 경상감사 김수가 4월 20일 이순신에게 공문을 보내 전라수군의 경상도 지역으로의 지원 출격을 조정에 상신했다는 전갈을 급히 보내온다. 왜적선은 500척에 달했지만, 이순신이 동원할 수 있는 함대는 고작 85척에 불과했다. 구름 떼처럼 몰려오는 적들을 맞아 어떻게 싸울 것인가? 이 미지의 싸움에 응하는 장군의 전략은 가장 기본적인 원칙을 준수하는 것이었다. 그것은 수군 병영의 분위기를 일신하고, 실전 훈련을 끊임없는 쌓는 것이었다. 수군조련도. 이순신 장군의 23전 23승이라는 무결점의 완벽한 승리 뒤에는 철저하고.. 2012. 8. 6. 400년 전 핏빛 남녘바다 나는 묵시의 남녘 바다 앞에 서 있다. 해역엔 가득 안개가 끼이고 앞은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 저 바다를 400여 년 전 이순신은 밤낮으로 노려보았으리라. 바다는 적이 들어오는 길목이자, 적의 병참선과 첩보선이 교활하게 암약하는,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전장터였다. 장군은 적을 찾아 섬과 뭍 사이를 이 잡듯 샅샅이 뒤졌다. 그 사이에 바다가 있다. 나는 저 바다에서 장군의 지난하기만 했던 삶의 궤적을 만난다. 23전 23승의 무결점의 승리를 이뤄 낸 장군의 주요 해전들을 돌아보며 경영자로서 경제위기에 맞설 힘과 혜안을 얻는다. 장군이 맞아 싸운 7년간의 주요 임진왜란 해전들을 돌아봄으로써 장군이 지닌 불굴의 필사즉생의 정신과 지혜를 얻고자 한다. 1차 출전 1592년 5월 7일 옥포해전, 합포해전 (4.. 2012. 8. 1.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168 다음